728x90


요양보호사 자격증 강의 요약 - 2부 노인의 건강증진 및 질병 예방, 1편 영양, 운동, 수면


1

 영양


1. 영양

 : 영양이야, 건강의 필수 조건이지.


1) 영양문제

 (1) 미각 후각 크게 저하 -> 양념 많이 사용하고 음식이 짜게 되어 나트륨 섭취가 많아져 고혈압, 심장병 등이 악화될 수 있음.

 (2) 시력 저하, 유통기한 파악 어려움 -> 상한 음식 섭취 가능

 (3) 청력 저하, 사회 활동 문제, 고독감, 외로움으로 음식 섭취 줄어 영양 문제 가능

 (4) 침 분비 줄어들고 음식물을 씹고 삼키는 능력 저하. 

 (5) 포만감 일찍 느끼고, 복부팽만감과 식육 부진 생김.

 (6) 위 수축, 소화액 분비 감소, 소화 및 흡수 기능이 떨어짐.

 (7) 활동량 감소, 칼슘 섭취 및 흡수 감소로 골다공증 발생 가능.

 (8) 만성질환 노인은 치료 식이로 식욕 떨어져 영양부족 가능.

 (9) 무치나 의치로 음식 씹기 어려움. 음식 섭취 부족으로 영양 부족 발생 가능.

 (10) 수분량 감소 갈증에 대한 반응 저하 탈수 발생 가능

 (11) 치매로 인해 인기 기능 저하, 음식 과도 섭취, 반대로 식욕이 없어져 음식 적게 섭취 등으로 영양 문제 발생

 (12) 배우자, 친구 죽음, 은퇴, 고독, 우울 등 심리적 이유로 식욕 줄어듦으로 영양결핍.

 (13) 독거노인이나 사회적으로 고립된 노인은 영양섭취가 불량할 수 있음.


2) 영양 관리

 (1) 적절 칼로리 섭취 -> 이상적 체중 유지

 (2) 균형 잡힌 영양소 섭취 -> 하루 3끼 규칙적

 (3) 1일 단백질 필요량은 1kg당 1g임

 (4) 동물성 단백질은 체중 1kg당 0.5~0.6g만으로 충분. 1일 단백질 섭취량의 1/3~1/4는 동물성 단백질이 좋음.

 (5) 식물성 위주 단백질의 경우에는 여러 음식을 함께 섭취해야 아미노산 보충 가능

 (6) 칼슘은 우유로 보총, 비타민 D(칼슘 흡수 촉진) 같이 섭취

 (7) 고혈압, 심장병 등 예방 위해 염분 섭취를 줄인다.

 (8) 물, 섬유소가 풍부한 야채나 과일을 섭취하여 변비 예방.

 (9) 육류는 기름 제거, 동물성 지방 줄임.

 (10) 콩이나 유제품 매일 섭취

 (11) 무기질, 비타민, 항산화물질 섭취는 해조류, 버섯류, 채소, 과일류 자주 섭취.

 (12) 먹을만큼만 준비. 오래된 건 먹지 않음.

 (13) 금기 아니면 충분한 수분.


가. 싱거운 음식 조리법

 - 식초, 겨자, 후추, 파, 마늘, 양파, 참깨 등 사용.

 - 간장, 고추장, 된장 등 평소 2/3만 사용.

 - 뜨거울 때는 짠맛 못느끼므로, 뜨거울 때는 간을 맞추지 않는다.

 - 국물에 새우, 멸치, 표고버섯 등을 사용하면 맛이 좋아져, 된장, 고추장 등 양념장 사용 줄임이 가능.

 - 배추김치, 간장, 된장, 라면, 고추장, 총각김치 등을 통해 소금 섭취 많이 할 수 있으니 주의.


나. 암 발생 예방 식생활

 - 다채롭게 균형 잡힌

 - 균형 잡힌 식사, 매끼 여섯가지 식품군

   : 매끼 곡류 주식 2~3종류 채소류(예: 생채, 나물, 샐러드)와 단백질 풍부 고기, 생선, 달걀, 콩류를 1 ~ 2중류 섭취. 

   : 유제품 및 과일류는 하루 1회 이상 간식으로 섭취

 - 채소와 과일을 충분히.

   : 항산화비타민, 무기질, 섬유소 등으로 암 발생률 줄어듦.

 - 짠음식은 적게

   : 소금에 절인 음식(예: 김치, 젓갈)을 자주 섭취하는 한국 사람은 위암 발생 확율이 10% 높음.

   : 고농도 소금은 위 점막 세포 자극 -> 음식속 발음물질이 잘 흡수되게 만듦. 위암 예방을 위해 소금 섭취 줄임.


 - 탄 음식 피하기

   : 그릴 육류는 고기가 탈 가능성 높음.

   : 붉은 고기와 육가공품은 대장암 및 직장암 가능성을 높임. 햄 소시지 등에 사용하는 아질산염은 접촉 부위에 직접적 암 유발(식도암, 위암, 간암, 폐암). 육가공품 '아질산염'의 섭취 피해야 함.


다. 수분 섭취 방법

 - 물은 마시는 양보다 마시는 방법 중요.

   : WHO 하루 권장량은 200ml 8잔 정도인 1.5 ~ 2flxjdla.

 - 질환에 따라 물 섭취 방법 다름.


 마시는 양: 자신의 체중 x 30~33mL

 마시는 간격: 한 시간에 한 잔(200 mL)

 마시는 방법: 한 번에 500mL 이상 마시지 말고, 한두 모금씩 천천히 마신다.

 물 이외 음료수: 주스로 가능하나 녹차, 커피, 맥주는 탈수 유발.


 중요!!!


 ★ 수분 섭취 제한 질병


   ☞ 간경화: 간기능 저하시 수분이 각 장기에 골고루 배분되지 못해서 혈액속 수분 많아짐.

   심부전: 심장에 혈액 량이 많으면 심장부담. 하루 1리터 이내로 마셔야 한다.

   ☞ 신부전증: 신장부담되니 갈증 날때만 의사 권고 양 물 마시기

   ☞ 부신기능저하증: 수분 염분 배출 어렵기 때문에 수분 많이 섭취 시 전신부종 가능.

   ☞ 심한 갑상선기능저하증: 물을 많이 마시면 수분 배출 잘 안됨.

 

 ★ 수분 충분 섭취 질병


   ☞ 염증성 비뇨기 질환: 요로감염, 방광염, 전립선염 등이 있으면, 수분 충분히 섭취, 염증원인 물질을 소변으로 배출. 노폐물 농축되면 '요로결석'으로 진행


   폐렴, 기관지염: 호흡기질환에 걸리면, 열이 오르고 호흡이 가빠져서 피부와 호흡기 통한 수분 배출이 늘어나므로 물을 충분히 마신다.



   ☞ 고혈압, 협심증: 혈액속 수분 부족하면 혈액 점도가 높아져서 혈액 흐름 지장. 이때 혈전이나 지방이 혈관 벽에 들러붙을 수 있으므로 하루에 최소 2리터 물을 마심.


   ☞ 당뇨병: 신부전 합병증이 아닌 경우 물을 자주 마셔 혈당 올라가는 것을 막아야 함.




2

 운동


 : 관상동맥 질환과 고혈압, 비만, 당뇨병 발생률이 낮음.


1. 운동문제 

 1) 심장근육이 두꺼워져 탄력성 떨어지고, 심장근육 수축 힘 감소, 활동할 때 쉽게 피곤해짐

 2) 폐조식 탄력성 감소, 흉곽의 경직으로 폐활량 줄어들어 운동할 때 쉽게 숨이 찬다.

 3) 관절 뻣뻣, 관절 가동 범위 줄어들음. 관절 움직임 제한.

 4) 자극 반응 줄고 균형 및 조정 능력 떨어져 잘 넘어짐.

 5) 시력감퇴로 걸려넘어질까봐 운동 꺼려짐.

 6) 시간 비용 낭비라는 생각. 운동에 대한 두려움. 낙상 두려움. 우울 외로움과 같은 심리적 상태가 활동이나 운동에 방해.


2. 운동 관리

 1) 현재 운동 수준 평가

 2) 운동 금기 질환 및 투약 상황 확인

 3) 즐거운 마음으로 운동하고 스트레스 해소

 4) 시원하고 바람이잘 통하고 땀을 흡수하는 옷을 입고 운동

 5) 낮은 수준으로 운동 시작하여 상태를 보면서 점차 강도를 올린다.

 6) 적어도 10분 이상 준비운동을 하여 유연성을 높이고 근육 손상을 방지한다.

 7) 저강도 운동으로 시작, 근육피로, 호흡곤란, 협심증, 부정맥, 혈압 변화 등에 주의

 8) 운동 강고, 기간, 빈도를 서서히 증가시킨다.

 9) 안정 시의 심박동수로 돌아올 때까지 마무리 운동 한다.

 10) 운동하는 중간중간에 충분히 휴식

 11) 개인 능력에 맞는 운동

 12) 빠르게 방향을 바꿔야 하는운동이나 동작은 금한다. 




3

 수면


 : 신체 기관 재충전, 에너지 보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적절한 수면은 노인의 건강을 유지하는 필수 요소. 수면 양상 변화, 수면 장애는 심리, 사회적 측면에 부정적 영향


1. 수면 문제

 1) 수면 중에 자주 깬다

 2) 수면량이 줄어든다

 3) 잠들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린다

 4) 낮 시간 동안 졸림증이 많아 짐.


2. 수면 관리

 1) 매일 아침 일정한 시간에 일어난다

 2) 커피 등 카페인이 함유된 음료를 줄이거나 오후에는 금한다.

 3) 금주, 금연.

 4) 과식 후 수면 문제, 과식 금지

 5) 공복감에 잠이 안오면, 따뜻한 우유 등을 마심.

 6) 편한 잠옷을 입고 잔다.

 7) 침실 온도와 소음 조절, 적합한 침구 마련으로 잠자리 편하게.

 8) 취침 시간 길면, 불면증이 오므로 일정 시각에 잠자리에 듦.

 9) 늦게 TV 시청 등은 피한다.

 10) 함께 자는 사람이 코를 골거나 수면에 방해가 될 정도로 뒤척임이 심하면 수면 문제가 해결될 때가지 다른 방을 사용하도록 한다. 

 11) 수면제, 진정제 장기 복용 금지

 12) 규칙적으로 적절한 양의 운동

 13) 낮잠 금지(밤잠 설침)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