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과연 사교육이 문제라고 생각하는가?

내가 보기엔 국민들의 전체적인 문화와 인식 혹은 개념에서 비롯되었다고 본다.
시험 지상주의(?), 학벌주의, 인재를 보는 기준등..... 대다수 국민의 사고가 유연해지는 날 사교육 문제는 자연스럽게 해결 될 것이다.

우리는 인재를 생각할 때 빠지는 오류는 마치 시험을 잘 치는 것이 똑똑하거나 뛰어난 사람으로 인식된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서울대 신화는 이어지는 것이다. 소위 시험으로 시작해서 시험으로 서울대에 들어가서 행시, 사시등의 시험 합격으로 이어지는 인생의 출세...........................................
서울대 혹은 기타 명문대에 합격한 사람들에게 확실히 말할 수 있는 것은 그들은 시험을 치는 능력이 띄어나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 것이 그사람들이 모든 능력을 말하는 거은 아니지 않은가? 모든 사람들이 이를 인식하고 공론화 되는 순간 사교육 문제는 많은 부분 풀어질 것이라는 것이다.




서울대 출신들이 서로 밀어주고 끌어주고 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그들도 아는게 아닐까? 같은 대학 출신이었고 시험을 잘쳤다(물론 노력했겠지만)는 것 외에는 정당화 시킬게 뭐가 있단 말인가? 실제 실무에서 큰 성과를 낸다는 것은 또 다른 능력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시험치는 것과 인생은 다르기 때문이 아닌가? 자신의 실력을 믿을 수 없으니 그 서울대란 이름으로 서로 뭉치는 것이 아닌가? 그 출신 사람들이 만들어간 명성이 아니라 그 명성에 의해서 만들어진 그 사람은 확실히 다르다고 생각한다. 고로 우리가 우리 스스로 들어간 학교에 따라 사람을 평가하지 않게 되는 날, 그리고 개개인마다의 그 가능성들을 그리고 장점들을 염두에 두고 서로를 바라보게 되는 날 지금 현재 사교육이 의미는 사라지게 될 것이다. 물론 또 다른 의미의 사교육이 생기겠지만.......

제도를 바꿀 것이 아니라 인재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바꾸어라. 사람을 바라보는 시선을 바꾸어라. 서로가 많이 다름을 인식하고 각자의 능력을 인정해주는 사회 분위기를 만들어라. 사람에 대해서 좀 더 다면적인 평가를 할 수 있게 하라. 그 첫 출발은 바로 서울대 신화 깨기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우리가 학벌로 사람을 다르게 보지 않고 평등한 눈으로 서로를 보게 될 때, 많은 변화가 있을 것이다.

(사람을 평가할 적절한 척도를 찾기 어렵고 시험이라는 것이 유일한 객관적인 자료이니 어쩔 수가 없다고는 하지만 말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