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FreeDOS가 깔린 HP 노트북 15 구입 및 설치기


2 부 - 외관 살펴 보기


HP 15 Notebook 외관 보기 - 요즘 노트북 트렌드를 따랐다. 하지만 HP에서 보이는 디자인의 견고함이나 어떤 세련됨은 보이지 않는다.

: 이 노트북의 특이한 점이 배터리다. 내가 아는 일반적인 배터리 보다는 크기나 무게가 작다고해야 할까? 하지만 배터리는 기본적으로 4시간은 가는 것 같았다. 


외관을 보다

배터리

: 노트북 중에 이런 종류의 배터리는 도시바의 '리브레또' 이후로 처음이다. 길게 그리고 얇게 되어 있다.






어댑터

: 어댑터는 특별한 것 없다. 어댑터에게 바라는 것은 연결 부위간 견고한 것. 이는 오래 사용해보면 드러날 일이다. 다른 저가 제품은 어김없이 어댑터 통과 선 사이가 너덜해서 떨어졌다.


본체

: 본체를 보면 알겠지만 얇다. 그렇다고 아주 얇지는 않다. 슬림을 표방한 노트북에 비하면 아주 두꺼운 거다. 그렇지만 충분히 얇다고 해야 하겠다. 한마디로 애매하다.




키보드

: 키보드는 기존의 트렌드이고 마우스 패드도 마찬가지다. 키감은 나쁘지 않다.


옆면

: 그렇다할 특징이 없는 일반적인 모습.


무게

: 배터리 장착 후 무게가 2.7 kg이다. 무게가 꽤 된다는 거다. 들어 보면 무겁다. 한 손으로 든다면 꽤 부담이 된다. 무게 부분은 좀 감점이다. 

  1. 17:35:02 FreeDOS가 깔린 HP 노트북 15 구입 및 설치기 4 부 - 더 험난한 윈도우 드라이버 설치
  2. 2014/07/14 FreeDOS가 깔린 HP 노트북 15 구입 및 설치기 3 부 - 윈도우 설치
  3. 2014/07/14 FreeDOS가 깔린 HP 노트북 15 구입 및 설치기 2 부 - 외관 살펴 보기
  4. 2014/07/13 FreeDOS가 깔린 HP 노트북 15 구입 및 설치기


728x90


FreeDOS가 깔린 HP 노트북 15 구입 및 설치기


1 부 - 구입과 포장 풀기, 그리고 그 첫인상


HP 15 Notebook 포장 풀기 - 디자인은 그다지 신경쓰지 않은 오로지 가격만 중시하는 사용자를 위한 노트북이다.

: 이 노트북은 본인이 구입한 것이 아니다. 아는 지인이 구입했는데 알고 보니 윈도우가 없는 컴이라 윈도우 좀 깔아달라는 부탁을 받고 접수한 노트북. 이 노트북은 현재 약 350,000원 정도에 판매되는 제품이다. 

 

포장을 풀다

 : 요즘 노트북 포장의 특징이다. 되도록이면 부피를 줄이려고 한 노력이 보인다. 

역시 메이드 인 차이나

간략 사양

 : 여기서 보면 알겠지만 "FreeDOS"라는 글씨가 선명하게 새겨져 있다. 





이건 어쩌구저쩌구 적혀 있는 것

: 그런데 왜 한국어로 번역이 되지 않았을까? 한국을 개무시? 싸니깐 그냥 사라 뭐 그런건가?

요즘 노트북 포장의 트랜드


내부 구성품 그리고 첫인상

간단한 구성품

: 정말 단촐하다. 기기, 배터리, 어댑터, 설명서. 이게 다다.





한국어로 된 설치 설명서 

이건 그 유명한 제조사 책임회피용

요것이 핵심 기기


첫인상

: 첫 인상은 전체적으로 투박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싸다는 것. 그리고 전체적으로 얇고 넓다는 것. 하지만 그렇게 싸보이는 제품은 아니다. 그렇다고 비싸 보이지도 않는다. '무난하다'는 표현이 적절한 것 같다. 눈에 뛰지도 않으면서 그렇다고 완전 없어 보이지도 않는 그런 제품을 원한다면 적격인 것 같다.

  1. 17:35:02 FreeDOS가 깔린 HP 노트북 15 구입 및 설치기 4 부 - 더 험난한 윈도우 드라이버 설치
  2. 2014/07/14 FreeDOS가 깔린 HP 노트북 15 구입 및 설치기 3 부 - 윈도우 설치
  3. 2014/07/14 FreeDOS가 깔린 HP 노트북 15 구입 및 설치기 2 부 - 외관 살펴 보기
  4. 2014/07/13 FreeDOS가 깔린 HP 노트북 15 구입 및 설치기


728x90



브룩사이드 다크 초콜릿 블루베리 맛

                                                     - 과연 먹을 만 한가?

 

먹을만한 초콜릿을 찾고 있었다. 먹을 만한. 이왕이면 다크 초콜릿으로. 초콜릿을 좋아 한다. 여러가지 이유로. 

 

지마켓에서 주문하고 박스를 받았다...

: 헉 가격이... 907g에 16,890원. 배송비 2,500원 추가하면 19,390원이다. 그럼 이제 다른 초콜릿 제품과 가격 비교해야 겠다. 드림 카카오 6통이 8,900원에 판다. 1통당 90G이고 6총은 540G이다. 10그람당 가격은, 브룩사이드의 경우는 215원, 드림카카오는 164원. 즉 드림 카카오가 가격은 훨싸다. 이렇게 되면 맛이나 식감이 더 좋아야되는데. 수입제품이라서 어쩔 수 없이 비싼 것인가? 참고로 미국에서는 15달러 정도 한다.

 지마켓 가격 정보

 





 

박스를 풀어 보고 내용을 보다


박스를 열고 내용을 보다...

 : 열어 보니 포장은 참 야무지게 했더라. 그리고 느껴지는 무게는 묵직한 느낌이 그대로 전달되어 왔다. 포장도 참 야무지게했다.

1. 신문지 등으로 충격 방지를 할 수 있도록 했다

: 테이프도 그렇고 안에도 혹시나 있을 충격에 대비해 놓은 모습이 꼼꼼해 보였다. 같이 주문한 다른 제품에 비하면 참 정성스럽게 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 포장을 보아하니 그냥 그런 제품은 아닌 것 같은데, 사실 이 제품은 사전 정보가 전혀 없이 그냥 구입한 것이다. 이런 모험 해보는 것도 재미있지 않은가?






너무나 궁금해서 브룩사이드라는 제품에 대해서 정보를 찾아 봤다.

: 한국어 홈페이지도 만들어진 제품. 일단 설명은 특별한 맛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온다. 과연 맛이 어떨지 궁금해졌다.  홈페이지로 가보려면 여기를 클릭.

 

안을 보고 맛을 보다

: 안의 실제 모양은 초코볼의 모양이다. 반 정도는 다른 곳에 담았기 때문에 아래에 보는 양은 전체 양의 반도 안되는 양이다. 

 아래에 사진을 보면서 설명을 덧붙이도록 하겠다.

 : 크기는 일정하지 않고 다양하다. 기계로 만들어 냈다기 보다는 그냥 둘둘 초콜릿을 말아서 만든 것 같다. 초콜릿 뭍는 양은 복궐복인듯.

안을 갈라 보았다

 : 난 안에 실제 블루베리가 있을 줄 기대했지만 블루베리는 없고 블루베리 맛을 내는 젤리가 있었다.

: 그 안 젤리의 모습은 위와 같다. 초콜릿에 젤리, 기대했던 것과는 달랐다.

 

 맛은 진한 초콜릿에 블루베리 향이 나지만 그것은 합성향이라는 것을 맛으로 느낄 수 있다.  먹어보면 알겠지만 뭐랄까? 나에게는 맞지 않는 그런 맛? 혹시 외국가서 음식을 먹어 본적이 있는가? 그 사람들은 잘 먹는데 난 먹기 힘든 그런 맛이 들어가 있는 것 같았다. 먹고 난 뒤에 결코 개운하지 않았다. 그리고 생기는 약간의 두통.

먹어 본 후 생긴 약간의 두통... 성분이 궁금해졌다.

:  일반적으로 들어가는 것 외에 말토덱스트린, 천연향, 데스크린, 카놀라유, 탄산수소나트륨, 비다민 C 등 생각보다 들어가는 것들이 많았다. 이것들 때문인가? 역시 한국 사람은 한국 제품을 먹어야 하는 건가? 아마 그런 것이 있지 않을까하는 생각을 해 본다.


728x90


      풀무원에서 만든 시리얼

                                                                   - 뮤즐리 

 

난 시리얼을 밥대신이 아닌 간식용으로 먹는다. 과자 대신에 먹는다. 그런 용도로 적합한 시리얼을 찾고 있는데, 기존의 겔로그 같은 시리얼은 너무 달거나 해서 그리 좋아 건강에 좋아 보이지는 않는다. 그리고 우유와 같이 먹으라고 만들어 놓은 건데 내가 우유를 안먹기로 했기에...

지마켓에서 주문하고 박스를 받아 보다...

: 총 2개를 주문했다. 택배비 2500원이 아까버서. 만약 과자 대용으로 먹기에 좋다면 더 구입할 생각이 있다. 가격을 생각한다면 10G 당 227원 정도가 나온다. 이렇게 보면 일반 과자와 가격대는 비슷하다. 

 우연인지 아닌지는 모르겠지만 이런 종류의 음식은 그 가격대가 비슷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 같다.

지마켓

지마켓 주문

: 배송비와 같이 따지면 19,500원이다.

도착한 박스

: 뒷면까지 굳이 찍은 이유는 포장이 참 대충했다는 게 눈에 너무 보여서다. 귀찮다는 듯이 대충한 흔적이 여기 저기 있어서 찍었다. 역시나 안에 있는 내용물의 포장이 찌그러져 있었다. 






박스를 풀었더니.

 : 맨 위 사진과 함께 찌그러진 모습이 보일 것이다. 잘 팔려서 이렇게 한 건가? 좀 기분이 안 좋았다. 


내용물을 보다...

: 기존의 시리얼과 무슨 차이가 있을까? 그러나 실제로 열어 보면 알겠지만, 밥상이다. 튀박. 거기에 마른 과일을 넣은 것일뿐? 

포장은 예쁘다.

내용물을 좀 더 자세히 보다...

: 내용물에 보면 빨간 것과 일반적인게 따로 보인다. 빨간것은 딸기고 나머지는 보리, 쌀 등의 밥상이다. 튀박이다. 뻥튀기 그 과자다...

일부를 꺼내 봤다

: 위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그냥 일반적인 밥상이다. 근데, 궁금한 것은 우리가 시리얼이라고 알고 있는 켈로그의 옥수수 시리얼은 무엇이냐는 거지. 왜 그 놈은 다른 모양을 하고 있는 것일까? 왜 그모양이 된 것일까? 주 원료는 무엇일까 등등의 의문점이 생겼다. 

 그리고 왜 한국에서는 이런 형태일까? 왜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시리얼의 모양이 아닐까? 왜 재가공을 하지는 않는 걸까 등 별 의문이 생겼다. 

맛을 보다...

: 단맛과 함께 밥상 먹는 맛이다. 중간 중간 단맛은 반짝거리는 부분이 단맛을 내는 물질이리라. 그것은 포장의 설명에 따르면 올리고당과 아가베시럽이다. 

그래서...

: 이 시리얼은 아이들 간식 대용으로 먹였으면 한다. 특히 과자 대용으로. 자극적인 맛에 익숙해진 아이들은 커서도 그 맛을 찾게 되는 법이다. 이것을 영양가 있는 과자 정도로 생각해도 되지 않을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