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양보호사 자격증 강의 요약 - 3부 요양보호 각론, 8 복지용구 사용 3편 자세변환용구 ~ 경사로
: 심신기능이 저하되어 일상생활을 수행하는 데 지장이 있는 대상자에게 일상생활을 수행하는데.... 등등 필요한 용구로 보건복지부 장관이 정해서 고시한단다..... <- 실제는 대충 도장만 찍것네....
대여품목(8종) | 구입품목(11종) |
수동휠체어 전동침대 수동침대 이동욕조 목욕리프트 배회감지기 경사로 욕창예방 매트리스 | 이동변기 목욕의자 성인용 보행기 안전손잡이 미끄럼방지용품(미끄럼방지매트, 미끄럼방지액, 미끄럼방지양말) 간이변기(간이대변기,소변기) 지팡이 욕창예방방석 자세변환용구 요실금팬티 욕창예방매트리스 |
11 | 자세변환 용구 |
자세변환 용구는 거동이 불편한 대상자의 자세와 위치를 변환하기 위한 용구이다. 누워 있을 때 등에 까는 시트나 몸에 받쳐서 자세를 바꿀 수 있는 쿠션 등이 이에 속한다.
1) 자세변환용 시트
① 신체 아래에 쉽게 깔고, 쉽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② 시트의 겉감과 안감은 대상자가 쉽게 자세를 바꿀 수 있도록 마찰이 적은 재료여야 한다.
③ 대상자의 몸 아래에 깔았을 때 자세가 불편하지 않은 정도의 높이여야 한다.
2) 자세변환용 쿠션
① 쿠션에 부착된 지퍼는 대상자의 신체와 접촉되지 않도록 감춰져 있어야 한다.
② 내부 충전재가 커버 밖으로 나오지 않아야 하며, 너무 딱딱하지 않아야 한다.
③ 너무 미끄럽지 않아야 한다.
④ 커버를 분리해서 세척, 소독할 수 있고, 변색되지 않는 것이어야 한다.
12 | 목욕리프트 |
: 목욕리프트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목욕시킬 수 있으며
특히 다리가 불편한 대상자가 목욕할 때 편리하다.
내구연한 3년
① 물속에서 사용되므로 녹이 슬지 않는 재질이어야 한다.
② 편안한 자세로 목욕할 수 있도록 등받이 각도가 조절되어야 한다.
③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정되어야 한다.
④ 대상자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어야 한다.
⑤ 사용 시에 인체 및 주위에 유해함이 없고 안전한 구조여야 한다.
@감전예방을 위해 충전용 배터리만 목욕리프트의 전원으로 사용해야 한다.
13 | 이동욕조 |
이동욕조는 침대 위나 거실 등에서 목욕할 때 사용된다. 상품에 따라 크기,
급수와 배수 방법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사용할 공간의 크기를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다.
내구연한 5년
가. 선정 시 고려 사항
① 날카로운 돌출부 및 가장자리가 없어야 하며, 변형, 흠, 결손, 잔금 등이
없어야 한다. 또 인체에 접촉하는 면은 매끄럽고 사용상 해로운 결점이
없어야 한다.
② 조작이 간편해야 하며, 사용 중 쉽게 풀리지 않는 구조이어야 한다.
공기주입 및 조립은 간단하고, 팽창한 상태에서 변형이나 흠이 없어야 한다.
@이동욕조 표면은 시각적 손상이 있는 사람, 일반적인 움직임에 어려움이 있는 대상자를 위하여 미끄럼방지가 되어있어야 한다.
나. 사용 시 주의 사항
① 평평하고 이물질 없는 장소에서 사용한다.
② 욕조를 잡고 일어나거나 앉지 않는다.
③ 한 번에 한 사람만 사용한다.
④ 강한 물리적 압력이 가해지거나 송곳, 날카로운 도구가 닿지 않게 한다.
⑤ 응급상황 발생 시에는 배수밸브를 열어 즉시 물을 뺀다.
다. 소독 방법
사용한 후에는 세제 또는 소독제를 사용하여 흐르는 물로 깨끗이 씻
어 말린다.
@이동욕조 표면은 시각적 손상이 있는 사람, 일반적인 움직임에 어려움이 있는 대상자를 위하여 미끄럼방지가 되어있어야 한다.
14 | 미끄럼방지 용품 |
: 거동이 불편한 대상자가 실내에서 미끄러져 넘어지면 중상을 입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미끄럼방지 용품을 사용한다.
미끄럼방지 용품으로 미끄럼방지매트, 미끄럼방지테이프, 미끄럼방지양말,
미끄럼방지액 등이 있다.
@미끄럼방지매트를 사용할 때는 걸려 넘어지지 않도록 주의 하여야 하고, 미끄럼방지액은 욕실의 바닥에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 후 골고루 발라 주어야 한다.
15 | 요실금 팬티 |
요실금 팬티는 일반 섬유 팬티에 방수패드가 부착된 형태이며 세탁 후
반복 사용이 가능해 경제적이다.
16 | 배회감지기 |
치매증상이 있거나 배회 또는 길 잃음 등 문제행동을 보이는 대상자의
실종을 미연에 방지하는 장치이다.
가. 배회감지기 종류
① 위성항법장치형(GPS) 배회감지기는 위치추적 서비스로 치매증상이
있는 대상자의 위치를 컴퓨터나 핸드폰으로 가족이나 보호자에게
알려주는 장치이다.
② 매트형 배회감지기는 침대 또는 바닥에 설치하여 대상자가 영역을
벗어날 경우 가족이나 보호자에게 소리 또는 빛, 문자 등으로 알림을
보내어 사전에 대상자의 움직임을 확인하게 하는 장치이다.
나. 사용 시 주의 사항
① 항상 전원 및 작동 상태를 확인하고 관리해야 한다.
② 매트형의 경우 밟거나 센서를 통과할 때 작동이 잘 되는지 수시로
점검해야 한다.
③ 매트형의경우 매트가 밀리거나 매트에 걸려서 넘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④ GPS형의 경우 분실의 위험이 있으며, 물에 젖으면 오작동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17 | 경사로 |
경사로는 휠체어를 이용하는 대상자의 이동성을 확보하고, 안전사고를 미연
에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며, 대상자의 정신적, 신체적 부담을 감소시켜 준다.
내구연한 8년
@휴대용 경사로 사용 시 안정되고 균형이 잘 이루어졌는지, 잘 고정되어 있는지, 파손된 곳은 없는지 등을 확인하여야 추락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것저것 잡다하게 궁금한 것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양보호사 자격증 강의 요약 - 3부 요양보호 각론, 제2 일상생활 및 개인활동 지원, 1편 일상생활 지원의 원칙과 2편 식사 준비와 영양관리 (0) | 2020.03.13 |
---|---|
요양보호사 자격증 강의 요약 - 3부 요양보호 각론, 9 안전관리 (0) | 2020.03.13 |
요양보호사 자격증 강의 요약 - 3부 요양보호 각론, 8 복지용구 사용 2편 성인용보행기 ~ 목욕의자 (0) | 2020.03.13 |
요양보호사 자격증 강의 요약 - 3부 요양보호 각론, 8 복지용구 사용 (0) | 2020.03.12 |
요양보호사 자격증 강의 요약 - 3부 요양보호 각론, 7 감염성 질환 예방 (0) | 2020.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