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양보호사 자격증 강의 요약 - 3부 요양보호 각론, 제 1 신체활동 지원, 3편 투약 돕기
1 | 기본 원칙 |
① 정확한 약물이, 정확한 대상자에게, 정확한 용량, 정확한 경로, 정확한 시간에 투약되도록 돕는다.
② 투약 후 평소와는 다른 이상반응이 나타나는지 관찰한다.
2 | 돕는 방법 |
대상자가 안전하고 정확하게 약을 사용하도록 도와야 한다.
① 약의 종류에 따라 가루로 만들 수 있는 약과 그대로 투약해야 하는 약이 있으므로 되도록 약국에서 가져온 상태로 투약되도록 돕는다.
② 대상자의 신체 상태로 인해 약을 삼키지 못할 경우 요양보호사가 임의로 약을 갈거나 쪼개지 말고 약사나 의사에게 문의하여 지시에 따른다.
③ 유효기간이 지났거나 확실하지 않은 약은 절대 사용하지 않는다.
④ 처방된 이외의 약을 섞어 주지 않는다.
⑤ 잘못 복용했을 경우 시설장이나 관리책임자에게 보고한다.
@금식인 경우에도 혈압약 등 매일 투약해야 하는 약물은 반드시 투약해야 한다.
@약물을 만지기 전에는 반드시 비누로 손을 깨끗하게 씻는다.
가. 경구약 돕기
< 준비 물품 >
처방 약, 숟가락, 주사기, 물, 컵, 계량컵, 눈금 있는 약물통, 빨대(물약 투약, 치아 착색 방지)
< 방법 >
① 물과 비누로 손을 씻는다.
② 약포장지에 쓰인 대상자의 이름을 확인한다.
③ 대상자가 입으로 약을 삼킬 수 있는지, 금식인지, 오심이나 구토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④ 침상머리를 높이고 반좌위를 취하게 한다.
⑤ 대상자에게 투약 절차를 설명한다.
⑥ 준비된 약의 용량을 확인하고 오염되지 않도록 준비한다.
⑦ 가루약, 알약, 물약의 투약 방법에 따라 약을 준다.
⑧ 물을 충분히 제공하여 약을 잘 삼키고 위장관에서 잘 흡수되게 한다.
⑨ 입을 벌리게 하거나 질문을 하여 전부 투약되었는지 확인한다.
⑩ 약을 먹으면서 기침을 심하게 하거나 구토하면 시설장이나 간호사 등에게 보고한다.
⑪ 물품을 정리한다.
⑫ 물과 비누로 손을 씻는다.
@약물을 만지기 전에는 반드시 비누로 손을 깨끗하게 씻는다.
경구 약 복용 시 주의점
■ 가루약
가루약은 숟가락을 사용하여 약간의 물에 녹인 후 투약하거나, 바늘을 제거한 주사기를 이용하여 녹인 가루약을 흡인하여 입 안으로 조금씩 주입한다.
@• 알약은 약병에서 약 뚜껑으로 옮긴 후에 손으로 옮긴다. 손으로 만진 약은 약병에 다시 넣지 않는다. • 물약을 다룰 때도 동일 하다.
■ 알약
알약은 약병에서 약 뚜껑으로 옮긴 후에 손으로 옮긴다. 손으로 만진 약은
약병에 다시 넣지 않는다.
• 알약의 개수가 많은 경우에는 2~3번으로 나누어 투약한다. 대상자가 손을 떨거나 입 안에 넣다가 떨어뜨려 약을 잃어버릴 우려가 있으면 직접 입 안에 넣어준다.
• 약을 삼키기 쉽게 해주고 위장관에서의 흡수가 잘되도록 충분히 물을 준다.
■ 물약
• 물약은 뚜껑을 열어 뚜껑의 위가 바닥으로 가도록 놓고 계량컵을 눈높이로 들고 처방된 양만큼 따른 후 대상자에게 투약한다.
@알약은 약병에서 약 뚜껑으로 옮긴 후에 손으로 옮긴다. 손으로 만진 약은 약병에 다시 넣지 않는다. • 물약을 다룰 때도 동일 하다.
용기에 담긴 물약의 눈금 읽기
• 약을 따르기 전에 약물을 흔들어 섞고, 색이 변하거나 혼탁한 약물은 버린다.
• 라벨이 젖지 않도록 용액병의 라벨이 붙은 쪽을 잡고, 라벨의 반대쪽 방향으로 용액을 따른다.
• 병뚜껑을 닫기 전에 입구를 깨끗이 닦는다.
• 약의 용량이 적을 때는 바늘을 제거한 주사기(무침 주사기)를 이용하여 정확한 양을 복용하게 한다.
@물약을 사용하기 위해 약병 뚜껑을 열 때, 병뚜껑 안쪽이 위를 향하도록 놓고, 병 안쪽에 손이 닿지 않도록 해야 한다. 약병 안으로 세균이 들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나. 안약 투여
눈의 감염 및 증상을 치료하기 위해 안약이 필요한 대상자에게 정확하게 약을 투여한다.
< 준비 물품 >
깨끗한 비닐장갑, 멸균수나 생리식염수에 적신 멸균 솜, 안약, 거즈
@멸균수: 균을 사멸시킨 물, 생리식염수: 몸의 체액과 동일한 농도이므로
혈관 안으로 투여하여도 삼투압의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다.
< 방법 >
■ 안약
① 물과 비누로 손을 씻는다.
② 약병 겉면에 쓰인 대상자 이름과 약품의 유효기간, 점적 방울 수를 확인한다.
③ 대상자에게 투약 절차를 설명한다.
④ 대상자가 앉거나 누워서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도와준다.
⑤ 약의 용량을 확인하고 오염되지 않도록 준비한다. 깨끗한 장갑을 착용한다.
⑥ 멸균수나 생리식염수에 적신 멸균솜으로 눈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닦아준다.
⑦ 안약 투여 시 아랫눈꺼풀(하안검) 밑부분에 멸균솜이나 거즈를 댄다.
대상자에게 천장을 보게 하고 대상자의 아랫눈꺼풀(하안검)을 아래로 부드럽게 당겨서 결막낭을 노출하여 아랫눈꺼풀(하안검)의 중앙이나 외측으로 (1/3지점에) 1~2cm 높이에서 안약용액을 투여한다.
⑧ 점적이 끝난 후 비루관을 잠시 가볍게 눌러 안약이 코 안으로 흘러 내려가는 것을 막아준다.
⑨ 장갑을 벗고 물과 비누로 손을 씻는다.
@대상자의 한쪽 눈에만 감염이 있을 시 반대편 눈에 전염되지 않도록 멸균수나 생리식염수에 적신 멸균 솜으로 눈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닦아 준다.
@각막에 직접 점안하는 것보다 결막에 점안하면 점적기가 눈에 닿아서 오염되거나 눈을 다치게 할 위험이 줄어들어 각막이 보호된다.
■ 안연고
① 안약 투여 방법의 ①~⑥을 시행한다.
② 안연고를 사용할 때는 처음 나오는 것은 거즈로 닦아 버린다. 아랫눈꺼풀(하안검)을 잡아당겨 아래 결막낭 위에 튜브를 놓고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안연고를 2cm 정도 짜 넣는다.
③ 대상자에게 눈을 감고 안구를 움직이게 한다.
④ 튜브를 멸균수나 생리식염수에 적신 멸균 솜으로 닦고 뚜껑을 닫는다.
⑤ 눈꺼풀 밖으로 나온 연고는 멸균 생리식염수에 적신 멸균 솜으로 닦아낸다.
⑥ 비닐장갑을 벗고, 물과 비누로 손을 씻는다.
@안연고 투여 시 주의 사항: 안연고를 사용할 때는 처음 나오는 것은 거즈로 닦아 버린다. 외부 공기에 오염되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다. 귀약 투여
귀약은 귀의 감염을 치료하고, 통증을 줄이기 위해 투여한다.
< 준비 물품 >
깨끗한 장갑, 면봉, 점적기가 달린 약병, 면으로 된 솜
< 방법 >
① 물과 비누로 손을 씻는다.
② 약병 겉면에 쓰인 대상자의 이름과 약품의 유효기간을 확인한다.
③ 대상자에게 투약 절차를 설명한다.
@귀약 투여 후 대처: 약물이 귀 안쪽으로 잘 들어가도록 하기 위해서 대상자의 귀 윗부분을 잡고 뒤쪽(후상방)으로 잡아당겨야 한다.
④ 대상자가 치료할 귀를 위쪽으로 하여 귀약 투여에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도와준다.
⑤ 면봉에 용액을 묻혀 대상자의 귓바퀴와 외이도를 깨끗하게 닦는다.
⑥ 손으로 약병을 따뜻하게 하거나 약병을 잠깐 온수에 담근다.
⑦ 귓바퀴를 후상방으로 잡아당겨 약물투여가 쉽도록 한 후 측면을 따라 정확한 방울 수의 약물을 점적한다.
⑧ 귀 입구를 잠깐 부드럽게 눌러주고 약 5분간 누워있도록 한다.
⑨ 작은 솜을 15~20분 동안 귀에 느슨하게 끼워 놓았다 제거한다.
⑩ 물과 비누로 손을 씻는다.
@귀약이 너무 차거나 뜨거우면 내이를 자극하여 오심, 구토, 어지러움을 일으킬 수 있다.
@주사주입은 의료인의 고유영역이므로 요양보호사는 주사주입을 하지 않는다.
@간호사가 바늘을 제거한 후에는 1~2분간 알코올 솜으로 지그시 누르고, 절대 비비지 않는다. 비비면 피멍이 들기 때문이다.
라. 주사주입 돕기
주사주입 대상자에게 약이 정확하게 투여되는지 확인하고, 이상증상이 있는 경우 시설장이나 관리책임자에게 보고해야 한다.
① 의복을 갈아입거나 대상자가 이동할 때에는 수액세트가 당겨지거나 주사바늘이 빠지지 않도록 조심한다.
② 수액 병은 항상 대상자의 심장보다 높게 유지한다.
③ 정맥주입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지 수시로 확인한다.
④ 주사 부위가 붉게 되거나, 붓거나, 통증이 있는 경우 조절기를 잠근 후, 즉시 시설장이나 관리책임자에게 보고한다.
⑤ 간호사가 바늘을 제거한 후에는 1~2분간 알코올 솜으로 지그시 누르고, 절대 비비지 않는다.
마. 약 보관
약이 변질되지 않고, 효과가 유지되도록 제품 용기에 명시된 보관법에 따라 안전하게 보관한다.
< 주의 사항 >
① 모든 약물은 치매 대상자, 아동, 애완동물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한다.
② 유효기간이 지난 약물은 폐기한다.
③ 치매 대상자의 약은 안전한 곳에 보관하고 가능하면 약상자에 잠금장치를 한다.
■ 알약
• 알약은 원래의 약용기에 넣어 건조한 곳에 보관해야 습기가 차지 않는다.
• 햇빛을 피해 보관해야 약성분이 변질되지 않는다.
■ 가루약
• 가루약을 먹일 때 사용하는 숟가락에 이물질이나 물기가 있으면 변하기 쉬우므로 물기가 없는 숟가락을 사용한다.
■ 시럽제
• 시럽제(물약)는 서늘한 곳에 직사광선을 피해 보관한다. 약병에 쓰인 보관방법을 따른다.
• 오랫동안 먹지 않다가 다시 먹는다면 색깔이나 냄새를 확인하여 이전과 다르면 폐기한다.
• 약용기째 빨아 먹으면 침이 약에 섞여 들어가 변질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깨끗한 플라스틱 계량컵이나 스푼에 덜어 먹여야 한다.
• 꺼낸 시럽을 다시 병에 넣으면, 약이 변질되는 원인이 되므로 잘못 따른 약은 버려야 한다.
■ 안약, 귀약
• 안약이나 귀약은 투약 후 입구를 생리식염수 솜으로 잘 닦아 상온의 그늘진 곳에서 보관한다.
'이것저것 잡다하게 궁금한 것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양보호사 자격증 강의 요약 - 3부 요양보호 각론, 제 1 신체활동 지원, 4편 배설 돕기, Part 2 (0) | 2020.03.19 |
---|---|
요양보호사 자격증 강의 요약 - 3부 요양보호 각론, 제 1 신체활동 지원, 4편 배설 돕기 (0) | 2020.03.19 |
요양보호사 자격증 강의 요약 - 3부 요양보호 각론, 제2 일상생활 및 개인활동 지원, 4편 의복 및 침상관리와 5편 세탁하기 (0) | 2020.03.18 |
요양보호사 자격증 강의 요약 - 3부 요양보호 각론, 제2 일상생활 및 개인활동 지원, 3편 식품, 식기 등의 위생관리 (0) | 2020.03.18 |
알벤다졸 복용 후기 2 - 간흡충 대비 800 mg 복용 포함 (0) | 2020.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