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아는 지식 혹은 공통된 문화 그리고 가치 제계와의 관계에 대해서. 제 1부
서문 : 이 글은 앞으로 계속 보완 작성될 글이다. 완성된 글이 아님을 밝혀 둔다. 지금은 논리가 정연하지 않다. 이 글을 일고 나의 생각에 동의 하는 사람들이 있었으면 하는 바램이고, 그 사람들이 적극적인 동의 의사를 표현해주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나의 개인적 가치가 실제 공통가치로서 어느 정도인가를 알고 싶어서 이다. 이 이론은 이미 나와 있을 수도 있다. 분명히 밝히는 것은 이 생각들은 다른 사람의 생각에서 차용한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책을 한 두권씩 읽어 가면서 나만 이런 생각을 한게 아니구나 하는 것을 발견한 것이 한 두 번이 아니다. 혹시 이 글을 읽고 그런 책이 있으면 나에게 꼭 알려주었으면 한다.
가치와 판단: 난 가치(어떤 판단 기준, 혹은 지식)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개인적 가치(혹은 가치 기준), 실제 공통적 가치, 개인적으로 가정한 공동 가치.
개인적 가치 - 어떤 개인이 생각하는 가치 기준. 이 기준은 그 개인의 상황에 따라서 변하며, 그 기준은 개인마다 천차 만별일 것이다.
실제 공통 가치 -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옳다라고 생각하는 가치 기준. 이 것은 소위 말하는 윤리에 해당될 수 있을 것이지만, 이 실제 공통적 가치는 시대에 따라서 달라지며, 상황, 집단 속성, 집단 규모 등에 따라 다라지며, 규모가 작은 집단에서는 규명이 가능하지만 도시나 국가 단위로 넘어가면 공동가치는 규명할 수 없다.
개인적으로 가정한 공통 가치 - 이 것은 어떤 개인이 생각하기에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옳다라고 생각할 것이라고 가정한 혹은 그렇게 생각하는 가치 기준이다. 내가 가장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싶고, 이로 인한 다양한 인간 행동에 대한 연구를 하고 싶은 분야이다. 사실 나는 한 동안 이 존재에 이름을 붙이는 것에 상당한 시간이 걸렸지만, 아직도 나는 적당한 이름을 붙이지 못했다.
자 그럼 이들의 상관 관계에 대해서 연구를 하자.
본격적인 담론에 넘어가기 전에 한가지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이 있다. 역사적으로 볼 때, 가치라는 것은 시대의 필요에 따라서 변한다. 즉, 필요에 의해서 생긴 것이 바로 "가치"다. 이게 무슨 소리냐고 나에게 말하고 싶은 사람들이 있을 것이다. 어떤 절대적인 가치를 신봉하거나 받들고 있는 사람들에겐 참으로 받아들이기 힘든 것일 것이다. 안 받아 들여도 된다. 이 것은 나의 개인적인 생각이니깐. 이 생각에 동의 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고 그렇지 않은 사람들고 있을 것이다. 난 그저 나의 생각을 늘어 놓는 것 뿐이다. 자신의 생각이 옳다고 믿는 사람들은 믿어라 난 말릴 생각 없다. 그러니 그대들도 나의 삶에 태클을 걸지 않았으면 좋겠다. 자신의 생각을 나처럼 늘어 놓는 것을 방해할 생각은 없다. 그렇게 해도 상관없다. 하지만 내 삶에 태클은 걸지 말아 다오. ^^;
자 그럼..
난 세 번 째 가치에 대해서 참으로 관심이 많다. 왜 냐하면 이 것은 우리 개인의 행동에 상당히 많은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이 가치는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사람들, 미디어들 등 각 종 정보에 영향을 받아 개인에게 형성이 된다. 조선 시대의 여성들은 그 시대의 사조에 따라서 여성들에게 암묵적으로 강요된 가치들이 있었다. 여자들이 일을 한다거나, 놀거나, 성적으로 활발한 활동을 보일 경우, 실제로 상당한 제제를 받았으며 여성 스스로도 제제를 해 왔다. 그러나 과연 정말로 대부분의 여자들이 이 가치에 동의를 했을까? 즉 말하자면 실제 공통적 가치였을까? 하는 의문이다. 그 당시 여성들은 개인적인 가치로 봤을 때, 밖 일을 한다던가 남자에게 무조건적인 복종을 하는 것은 옳지 않다라고 생각했을 지도 모를 일이다, 개인적 공통 가치로,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은 내가 이런 행동을 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옳지 않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감히 행동으로 옮기지는 못했을 것이다.
개인적 가치가 실제 공통 가치로 넘어가는 데에 영향을 끼치는 것은 정보의 공유다. 그 때 당시는 정보의 공유가 거의 없었다. 그 정보의 공유 속도도 느렸으며 정확하지도 않았다.
그럼, 패션의 입장에서 보자. 어떤 개인이 옷을 고르는데 있어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위의 2가지 가치(개인적 가치와 개인적 공통가지)를 상당히 많이 생각하며, 이를 바탕으로 옷을 고른다. 개인적 가치로서 어떤 사람이 이 옷을 입고 싶지만, 개인적 공통가치를 생각했을 때, 이 옷을 입으면 대중적으로 어필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 이 두 개가 대립을 하다가 자신의 선택에 따라서 옷을 고르게 된다. 그러나 여기서 개인적 공통가치가 실제 공통 가치와 비슷하게 되면 그 개인의 선택은 비교적 성공하게 되는 것이다(물론 이 것은 그 개인이 그 옷으로 무엇을 의도 했느냐에 따라 다를 것이다). 이 것은 비단 옷을 고를 때 뿐 아니라 이성을 선택할 때도 적용이 된다.
'회색칼럼(Gray Column)'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년 초반에 점쳐보는 한국의 미래 (0) | 2018.09.07 |
---|---|
우리가 아는 지식 혹은 공통된 문화 그리고 가치 제계와의 관계에 대해서. 제 2부 (0) | 2018.09.02 |
사교육에 대한 정부의 헛다리 집기... (0) | 2018.09.01 |
Ethics, Doctrines and Right or Wrong (0) | 2018.09.01 |
The future aspects of our lives (1) | 2018.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