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mdisk Plus"를 활용해서 나머지 램을 "램 드라이브로 만들기"
: 쓰지 못하는 1G정도의 메모리 활용을 위해서 넘겨야 할 단계가 이렇게나 많다니. 이 글을 보면서 하나하나 따라 하는 것도 참 힘들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지금 이글을 쓰고 있는 나도 조금 지쳐가고 있다. 자 그럼 다운로드에서부터 설치 및 설정까지 모두 단계를 밟아 보자.
참고로, 이글은 이전 글의 단계를 모두 밟아야 하므로 혹시 이전 글을 안 보고 온 사람이라면 "윈도우즈 XP에서 램 4기가를 모두 인식 못하는 경우 남은 부분 활용하기"를 클릭.
1. 프로그램 다운로드 및 설치 - 프로그램을 다운받고 설치하는 과정도 쉽지 않으니 잘 보고 따라와 주시면 고맙겠다.
1.1 다음 주소로 들어가서 아래 표시된 곳을 클릭해서 나오는 다음 페이지에서 " 다운로드 받는다. 또는 "여기"를 눌러서 바로 다운 받는다.


1.2 다운완료하면 파일명은 다음과 같이 되어 있을 것이다.

1.3 위 파일을 더블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설치 화면이 나오면 "Next"를 눌러 준다.

1.4 사용 계약서 동의 후 "Next" 클릭

1.5 폴더 변경할 것 아니면 바로 "Next" 클릭

1.6 "Next" 클릭

1.7 설치 진행 화면

1.8 설치 도중 나오는 화면. 드라이브를 설치하기 위한 것이니 당황하지 마시도록

1.9 완료 화면

2. 프로그램 실행 및 램드라이브 설치 - 복잡한 거 정말 싫은데, 또 할게 이렇게 많이 남았나. 그냥 클릭한번으로 다 알아서 해주면 얼마나 좋을고...
2.1 오랫동안 사용한 컴퓨터라면 참 깔리 프로그램이 많을 것이다. 프로그램 찾는 것도 피곤한 일. "SuperSpeed"로 되어 있는 프로그램 폴더를 찾으면 된다. 그리고 바로 "RamDisk Plus"를 클릭해준다.

2.2 나오는 화면에서 바로 "File"을 클릭해 준다.

2.3 나오는 화면에서 "Memory"를 클릭해 준다.

2.4 그러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첨 실행한 경우 우래 내용이 비어서 나올 수도 있다.
설치된 메모리 "4096"이 나와 있고, 상세한 정보를 보면, 가용 메모리가 "2926"임을 알 수 있다. 이건 BIOS가 인식하는 메모리 크기라는 뜻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Unmanaged"를 누르는 것.

2.4 다음과 같은 창이 뜨면, 바로 "Configure"를 눌러주자.

2.5 "Enable use of unmanaged memory"를 눌러서 체크표시를 해서 관리안되는 나머지 메모리의 가용이 가능하도록 만들자.
그 다음에 나오는 경고 문구는 "사용하지 않는 메모리의 사용시도는 위험할 수 있단다. 시스템이 다운될 수도 있다"라는 말이다.

2.6 Direct address부분은 "Disable"로 놔두어도 된다. 사실, 난이게 뭔지 잘 모른다. "특수 프로그램용으로 가능하게"인데, 뭔지 모르겠다.

2.7 "OK"를 누르면 다음과 같이 성공적으로 가능하게 되었다는 메시지가 나온다.

2.8 확인을 누르면 다음과 같이 상세한 정보가 나온다. 일단 활용가능하게 된 것이다.

2.9 아래 표시한 + 마크를 클릭하면 설정 마법사가 나타나고 "다음"을 누르면 바로 램크기를 묻는 창이 뜬다. 여기에 "1024"입력한다. 위에서 확인한 사용하지 않는 메모리 용량 그대로다.


2.10 제거되었을 때 메모리를 "제로"로 만든다는 데 이게 뭔 의미인지는 모르겠으나 그래야 된다라니 확인을 하고 "다음"을 클릭

2.11 파일 시스템을 지정하자. 용량이 작으니 FTA가 되어도 상관은 없겠다. 그다음 볼륨이름을 정하자. 구분을 위해서 "RamDrive"로 했다. 그리고 다시 확인을 위해서 "tem"라는 폴더를 만들도록 했다. "다음"을 누르자.


2.12 컴퓨터를 끌 때 드라이브 내용을 저장할 것인지 묻는 것인데 저장해라라고 했다. 지금 생각해 보니 그럴필요 없는데.. 그리고 "다음"을 누른다.

2.13 이제 마지막 단계로 "마침"을 누른다. "마침"을 누를 때인지 아니면 그전인지 USB 드라이브를 꽂을 때 나오는 "딩동" 소리가 들릴 것이다. 이제 생성이 되었다. 그럼 확인할 차례.

2.14 올, 되었다. 보이는가?

2.15 파일 내용을 보고, 등록정보도 확인하고, 올, 되었다. 보이는가?


3. 램의 원래 목적인 페이지 파일로 사용하기 - 원래 램이라고 하는 게 "페이지 메로리" 즉 램으로서의 역할을 해야할 것이 아닌가? 그래서 시도해 보았다. 그 결과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