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기 전.
: 본인은 프로그래밍이나 개발자가 아니라서 SDK를 상세히 설명하지는 못한다. 그저 비전문가의 관점에서 SDK를 서술해 나간다는 것을 알아 주었으면 한다.
SDK는 Software Development Kit, 즉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다. Android SDK는 안드로이드용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인 셈이다. 이 도구의 다운로드와 사용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 프로그래밍을 아는 사랆이라면 누구든지 이 도구를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방법을 익히고 바로 개발하면 된다.
"다운로드" 하기.
1. 다음 링크 클릭 http://developer.android.com/sdk/index.html 하면 나오는 다음 화면에서 하늘색으로 된 "Download the SDK"를 클릭하면 된다.

2. 원하는 폴더에 다운로드하면, 다음과 같은 압축파일이 생기는 데, "adt-bundle-windows-x86-20130522.zip", 압축 풀 때 현재 폴더에 풀기해도 된다. 폴더채로 압축된 것이다.
3. 압축을 원하는 곳에 풀기한 다음에, 폴더 이름은 쉬운 것으로 변경해 두자. 나중에 명령 프롬프트에서 작업해야 할 일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폴더 들어갈 때 폴더명을 일일이 다 쓰는 것은 쉬운일이 아니다.
실행하기
1. 폴더를 열어 보면 다음과 같은 파일과 폴더가 있는데, 그 중에 SDK Manager.exe를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안드로이드 관리자 화면이 뜬다.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뜨지만, 사실 실행 후에 모든 게 설치가 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각 항목을 보고 필요한 것이 있으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즉, Not installed라고 되어 있는 경우 해당 항목을 선택하면, 아래, "Install packages..."가 활성화되고 클릭하면 다운로드하고 설치를 진행한다.

2. 원하는 항목을 다 설치 한 후에, "Tools" 메뉴 아래에 있는 "Manage AVDs..."를 클릭한다.

3. 다음과 같은 Android Virtual Device Manager가 나타나면, 오른쪽에 있는 "New..."를 클릭한다.

4. "New..."를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나는데, 각 항목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AVD Name : 가상 기기의 이름을 정하는 부분. 안에 기호나 뛰어쓰기는 넣지 못한다. 글자와 숫자로 넣어야 한다. 한글도 안된다.
Device : 원하는 기기의 환경과 화면을 설정하는 곳이다. 4인치만 해도 화면을 크게 차지하니 참조하도록 하자. 필셀크기 그대로 화면에 나타난다.
Target : 안드로이드 버전을 선택하는 창이다.
CPU/ABI : 해당 CPU의 종류를 선택하면 되는데, 특별한 환경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경우라면 아무거나 선택해도 된다.
Memory Options : 이부분이 중요한데, 메모리를 높여 잡으면 실행하는데 시간이 한참걸리거나 실행이 안될 수도 있다. 512정도 잡아도 느린 것 같았다. 그냥 원래 나오는 디폴트 크기 즉, 343 정도로 해도 된다.
Emulation Options : 이곳에는 "Use Host GPU"를 선택해 주어야 속도가 좀 빠르다.
5. 위 관리자에서 설정한 것 중에 한 항목을 선택하면, 오른쪽에 "Start..."라는 메뉴가 활성화가 되고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뜬다. 여기서 주의 할 것은 "Scale display to real size", 즉, 실제 화면 크기 모양으로 변경하기를 선택하면 스마트폰 실제 화면 크기만큼 설정되어 화면크기가 매우 작아진 주의하기 바란다.

6. 위 화면에서 "Launch"를 선택하면, 다음과 같은 가상 기기, 즉 에뮬레이터의 화면이 뜬다.

7. 모든 프로그램 실행이 끝나면 다음과 같은 화면으로 바뀌면서 본격적으로 에뮬레이터를 시작할 수 있다. 이후는 마치 스마트폰처럼 사용할 수 있다. 주의할 것 한가지는 현재 확인해본 결과, 4.2.2 버전은 한글이 제대로 보이지 않는다. 즉 한글로 변경할 경우 글자는 모두 사라진 상태가 되니 주의하기 바란다.

안드로이드 SDK 개발자용 키트 또는 에뮬레이터 설치 및 사용기 2부 - 에뮬레이터 내에 어플 설치하기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