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비번으로 락 걸린 ZIP 파일 여는 방법

무슨 영화에서나 보듯이 마법처럼 짠하고 열리는 프로그램, 아니 일단 평범한 내 손에 걸리는 방법은? 없다!!! 우리 같은 일반인에게 옵션이란, 1. 포기하거나, 2. 돈을 쓰거나, 3. 수많은 세월을 투자해서 공부해서 방법을 찾거나 등 뿐. 이 중에서 가장 현실성 없는 방법이, '공부하는 방법'이네... 그정도 머리와 열정이 있었다면 이미 '돈 좀' 만졌을 거고, 이 방법에 그냥 2번 돈을 쓰는 걸 택했을테니...

결론.

 아래 제안된 방법은 '손해볼 것 없으니 해보는 방법'이고, 최신 프로그램으로 잘 보호된 파일의 비번은 풀기가 아주 어렵다!!!

 여기서 제안하는 건 크게 2가지, 비번을 찾아주는 iSumsoft ZIP Password Refixer라는 프로그램과 NSIS라는 일반 ZIP파일을 자동 압축 해제 EXE 파일로 변경하는 프로그램이다. 

 1. 비번 찾아주는 건 '언제 비번을 찾아줄지 모르는, 그래서 얼마나 시간이 걸릴지 모르는 방법'이고

 2. ZIP파일을 EXE로 변환시켜주는 건 어쩌다가 되는 것도 있으니 하는 방법이다.


 참고로, 비번 찾기 프로그램은 '정말 많이 존재'한다. 


1번 방법: iSumsoft ZIP Password Refixer

iSumsoft ZIP Password Refixer는 강력한 소프트웨어란다. 그럼 한번 살펴 볼까?

1. 먼저 프로그램 설치하고 해당 파일을 불러와야겠지...

 ZIP Password Refixer 를 다운하고 설치
 실행 후에 해당 파일을 불러온다.


2. 그 다음이 비번 찾는 방법을 선택하는 거다. 상황에 따라서 다른 데, 

  일단 Type of Attack을 누르면, 풀다운 메뉴에는 다음과 같은... 선택 항목이 나온다...

 - Brute-force: 무작위로 모든 경우의 수를 대입해봐서 찾는 방법.

 - Mask: 비번 중 일부를 알고 있을 경우 사용하는 방법.

 - Dictionary: 이미 가능성 높은 비번을 산정해 놓은 파일로 하는 방법. 이건 사전 파일을 따로 다운 받거나 본인이 만들거나 등등...

 - Smart: 알아서 모든 경우를 대입하는 방법인데, 여기서는 비번 길이만 설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는 방법이 바로, 부르트 포스 방법이다. 단, 세세히 설정해줘야 한다. 일단 단서가 전혀 없는 경우 'All caps latin(A-Z)', 'All small latin(a-z)', 'All digits(0-9)', 'All special symbols(!@#$)' 이 4가지를 선택한다.


3. 자, 'Start'를 누르면 시작!!! 기다리기만 하면 된다. 운이 좋으면 빨리, 운이 없으면 하루종일, 아니 그 이상이 걸릴 수도 있다.



2번 방법: NSIS로 ZIP을 EXE로 변환

1. 다운해서 설치. 다음 링크로 들어가면 된다. 

 링크: https://sourceforge.net/projects/nsis/files/latest/download?source=directory

 만약 링크가 변경되었을 경우: https://sourceforge.net/ 이 홈페이지로 들어가서 NSIS로 검색해서 다운.


2. 프로그램을 실행해서, "Installer based on ZIP file"을 클릭하면 해당 프로그램이 싱행된다.

: 참고로 이 프로그램은 특정 파일을 '설치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변경해주는 툴이다. 


3. 나오는 프로그램 화면해서 "Open"을 클릭해서 원하는 파일을 불러오고

 (이 단계에서 이게 가능한지 아닌지 판결이 난다. 즉 비번으로 잠겨 있어서 불가능하다는 메시지가 나오면 이방법으로는 안된다는 거다)


4. 그 다음 아래와 같이 해당 파일의 압축을 풀어주고(이건 비번없이 이미 풀었다는 얘기), 아래처럼 Browse를 선택해서 생성할 위치와 파일 명을 지정해주고 "Generate"를 눌러주면 된다.

728x90


"Ramdisk Plus"를 활용해서 나머지 램을 "램 드라이브로 만들기"

 : 쓰지 못하는 1G정도의 메모리 활용을 위해서 넘겨야 할 단계가 이렇게나 많다니. 이 글을 보면서 하나하나 따라 하는 것도 참 힘들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지금 이글을 쓰고 있는 나도 조금 지쳐가고 있다. 자 그럼 다운로드에서부터 설치 및 설정까지 모두 단계를 밟아 보자. 

 참고로, 이글은 이전 글의 단계를 모두 밟아야 하므로 혹시 이전 글을 안 보고 온 사람이라면 "윈도우즈 XP에서 램 4기가를 모두 인식 못하는 경우 남은 부분 활용하기"를 클릭. 


1. 프로그램 다운로드 및 설치 프로그램을 다운받고 설치하는 과정도 쉽지 않으니 잘 보고 따라와 주시면 고맙겠다.


1.1 다음 주소로 들어가서 아래 표시된 곳을 클릭해서 나오는 다음 페이지에서 " 다운로드 받는다. 또는 "여기"를 눌러서 바로 다운 받는다. 


1.2 다운완료하면 파일명은 다음과 같이 되어 있을 것이다.

1.3 위 파일을 더블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설치 화면이 나오면 "Next"를 눌러 준다.

1.4 사용 계약서 동의 후 "Next" 클릭

1.5 폴더 변경할 것 아니면 바로 "Next" 클릭

1.6 "Next" 클릭

1.7 설치 진행 화면

1.8 설치 도중 나오는 화면. 드라이브를 설치하기 위한 것이니 당황하지 마시도록

1.9 완료 화면






2. 프로그램 실행 및 램드라이브 설치 복잡한 거 정말 싫은데, 또 할게 이렇게 많이 남았나. 그냥 클릭한번으로 다 알아서 해주면 얼마나 좋을고...

2.1 오랫동안 사용한 컴퓨터라면 참 깔리 프로그램이 많을 것이다. 프로그램 찾는 것도 피곤한 일. "SuperSpeed"로 되어 있는 프로그램 폴더를 찾으면 된다. 그리고 바로 "RamDisk Plus"를 클릭해준다.

2.2 나오는 화면에서 바로 "File"을 클릭해 준다.

2.3 나오는 화면에서 "Memory"를 클릭해 준다.

2.4 그러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첨 실행한 경우 우래 내용이 비어서 나올 수도 있다. 

설치된 메모리 "4096"이 나와 있고, 상세한 정보를 보면, 가용 메모리가 "2926"임을 알 수 있다. 이건 BIOS가 인식하는 메모리 크기라는 뜻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Unmanaged"를 누르는 것.

2.4 다음과 같은 창이 뜨면, 바로 "Configure"를 눌러주자. 

2.5 "Enable use of unmanaged memory"를 눌러서 체크표시를 해서 관리안되는 나머지 메모리의 가용이 가능하도록 만들자.

그 다음에 나오는 경고 문구는 "사용하지 않는 메모리의 사용시도는 위험할 수 있단다. 시스템이 다운될 수도 있다"라는 말이다. 

2.6 Direct address부분은 "Disable"로 놔두어도 된다. 사실, 난이게 뭔지 잘 모른다. "특수 프로그램용으로 가능하게"인데, 뭔지 모르겠다. 

2.7 "OK"를 누르면 다음과 같이 성공적으로 가능하게 되었다는 메시지가 나온다. 

2.8 확인을 누르면 다음과 같이 상세한 정보가 나온다. 일단 활용가능하게 된 것이다.

2.9 아래 표시한 + 마크를 클릭하면 설정 마법사가 나타나고 "다음"을 누르면 바로 램크기를 묻는 창이 뜬다. 여기에 "1024"입력한다. 위에서 확인한 사용하지 않는 메모리 용량 그대로다.

2.10 제거되었을 때 메모리를 "제로"로 만든다는 데 이게 뭔 의미인지는 모르겠으나 그래야 된다라니 확인을 하고 "다음"을 클릭

2.11 파일 시스템을 지정하자. 용량이 작으니 FTA가 되어도 상관은 없겠다. 그다음 볼륨이름을 정하자. 구분을 위해서 "RamDrive"로 했다. 그리고 다시 확인을 위해서 "tem"라는 폴더를 만들도록 했다. "다음"을 누르자.









2.12 컴퓨터를 끌 때 드라이브 내용을 저장할 것인지 묻는 것인데 저장해라라고 했다. 지금 생각해 보니 그럴필요 없는데.. 그리고 "다음"을 누른다.

2.13 이제 마지막 단계로 "마침"을 누른다. "마침"을 누를 때인지 아니면 그전인지 USB 드라이브를 꽂을 때 나오는 "딩동" 소리가 들릴 것이다. 이제 생성이 되었다. 그럼 확인할 차례.

2.14 올, 되었다. 보이는가?

2.15 파일 내용을 보고, 등록정보도 확인하고,  올, 되었다. 보이는가?


3. 램의 원래 목적인 페이지 파일로 사용하기 원래 램이라고 하는 게 "페이지 메로리" 즉 램으로서의 역할을 해야할 것이 아닌가? 그래서 시도해 보았다. 그 결과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


가상 메모리 설정하기 - Ramdisk에 가상메모리 설정으로 속도를 빠르게 하자로 가기

728x90


미디어 공유

윈도우즈 XP에 윈도우즈 미디어 플레이어 11을 사용한다면 음악, 그림 및 비디오를 스트림으로 공유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 기기, 태블릿 및 스마트폰과 같은 기기에 컴퓨터 내의 미디어 파일을 스트리밍으로 공유할 수 있다. 윈도우즈 미디어 플레이어를 찾아서 실행한 후에 다음 과정을 따라하면 공유가 완료된다. 



1. 아래와 같이 "라이브러리"를 클릭한다.

2. 나오는 메뉴 중에서 "미디어 공유"를 선택한다.

3. 나오는 창에서 "내 미디어 공유"를 선택한다.

4. 위에서 "확인"을 누르고 나면 다음과 같은 창이 나오고 여기서 아래와 같이 설정 후에 "설정"을 클릭한다.






5. 아래와 같이 설정한다. 그 다음 중요한 것이 "새 장치 및 컴퓨터 자동 허용"을 선택한다. 나중에 인증과정을 거치려면 복잡하다.

6. 그 다음 해야할 일은 공유할 파일을 선택하는 것이다. 아래와 같이 "라이브러리"에서 "라이브러리에 추가"를 클릭한다.

7. "고급 옵션"을 클릭한다.

8. 아래와 같이 선택하고 "추가"를 누른다.  

9. 추가할 폴더를 선택하고 확인을 누르면 완료된다.  


자, 이제 본인이 가지고 있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실행해서 연결해 보자. 

그 방법을 보려면 다음을 클릭하자.

윈도우즈 미디어 플레이어로 설정된 스트리밍 서버를 안드로이드 단말기에서 플레이하기




728x90


안드로이드용 미디어 스트리밍 앱

USB 연결이니 SD 카드니 하는 것은 잊어버리자. 이제 스트리밍 뮤직과 비디오가  가능하니깐. 웹에서, 집에서, 아니 어떤 컴퓨터에서든 가능하다. 이것을 가능하게할 어플만 있으면 되니깐.

안드로모테(AndroMote)

안드로모테는 네트워크 검색을 통해서 미디어 서버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이 프로그램은 UPnP나 DLNA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연결되며 이 프로토콜을 통해서 가능한 연결을 모두 찾아 냅니다. 그 다음 플레이 목록을 만들 수 있고 음익, 영화 및 그 외 미디어를 플레이할 수 있습니다. 이 어플은 로컬에 파일을 저장해서 플레이하기 때문에 용량이 큰 동영상을 플레이할 경우 적절한 저장공간이 있어야 한다. 

AndroMote Remote Control - screenshot thumbnailAndroMote Remote Control - screenshot thumbnail



VLC Direct Pro Free


VLC Direct Pro Free - screenshot thumbnailVLC Direct Pro Free - screenshot thumbnail

이 어플은 설정이 복잡하다. 컴퓨터를 서버로 설정해 스트리밍을 해서 이용하려면 전용 스트리밍서버를 컴퓨터에 설치해 줘야 한다. 그 프로그램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설정이 좀 복잡하다. 
http://get.videolan.org/vlc/2.1.1/win32/vlc-2.1.1-win32.exe






컴퓨터에 프로그램을 깔고 위와 같은 여러 과정을 거쳐서 시도해보았으나 어플은 찾지를 못한다. 웹 브라우저 연결이 설정되어 있는지, 허가는 되어 있는지 등을 물어 보는데 무신 말인지 몰라 이쯤에서 포기하기로 했다. 해봤는데 안된다. 이런 복잡한 프로그램은 뭐하러 만들었는지. 혹시 누군가 자신 있으면 시도해보시길 바란다. 

MediaHouse UPnP를 / DLNA 브라우저

MediaHouse UPnP를 / DLNA 브라우저 - screenshot thumbnailMediaHouse UPnP를 / DLNA 브라우저 - screenshot thumbnailMediaHouse UPnP를 / DLNA 브라우저 - screenshot thumbnail

이 프로그램은 다른 프로그램에 비해서 간단하다. 깔고 실행하기만 하면 설정된 서버가 저절로 검색되어 나온다. 서버를 선택하고 파일을 찾아서 누르면 플레이가 된다. 


BubbleUPnP UPnP/DLNA

BubbleUPnP UPnP/DLNA - screenshot thumbnailBubbleUPnP UPnP/DLNA - screenshot thumbnail

이 어플도 비교적 간단한 어플이다. 실행시킨 후 "DEVICES"를 클릭하면 검색된 서버가 나오고 파일을 선택해서 플레이하면 끝.


보다 많은 프로그램은 "DLNA"로 검색하면 많은 어플들이 나온다. 어플들 마다 브라우징의 방식이 다를 뿐 큰 차이는 없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