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2018.05.26 E2180의 32비트 윈도우 XP에서 Q9300 64비트 윈도우로 업그레이드하기 - 4부 (1)
  • 2018.05.26 E2180의 32비트 윈도우 XP에서 Q9300 64비트 윈도우로 업그레이드하기 - 3부
  • 2018.05.26 E2180의 32비트 윈도우 XP에서 Q9300 64비트 윈도우로 업그레이드하기 - 2부
  • 2018.05.26 E2180의 32비트 윈도우 XP에서 Q9300 64비트 윈도우로 업그레이드하기 - 1부

  • 들어가기 전

     : 이제 하드웨어 설치 과정은 과정도 아니다. 컴퓨터의 꾸준한 발전으로 그 조립이 간편하고 쉬워졌다. 물론 소프트웨어도 마찬가지지만, 설치해야될 것들이 너무 많아 다른 무엇보다 시간이 많이 걸린다. 


    윈도우 7 설치 준비

     : 일단 필요한 것을 확인해 보았다. '설치 USB', '설치할 HDD'. 윈도우 7은 그 버전도 다양해졌다. Starter, Home, Home premium, Professional, Ultimatum 버전에서부터 각 버전마다 32비트와 64비트가 있고 각 설치 파일과 DVD 등도 다르다. 버전에 맞게 설치해야 되는 것이다. 

     일단, 내가 목표로 둔 것은 Windows 7 Ultimate 64bit. 먼저 제법 고생한 끝에 만든 윈도우 7 설치 USB를 준비했다. 만드는 방법은 다음을 클릭 

    1. 2014/01/08 USB 메모리로 윈도우 7 설치하기
    2. 2014/01/11 윈도우 7로 업그레이드하기: 윈도우 XP에서 윈도우 7으로 넷북 업그레이드하기 

      만드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일단 구입한 DVD를 ISO 파일로 만들고 해당 ISO파일을 USB로 복사하는 방법이 있다. 여러가지 방법을 시도해봤는데 UltraISO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 같다. 그 사용방법은 다음을 클릭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kwy3000&logNo=70174300506


    윈도우 7 설치

     :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윈도우를 그대로 이어받는 마이그레이션을 수행하는 방법도 있다. 나도 그 방법을 시도해보려고 했으나 기본적으로 윈도우 XP 32비트에서 64비트로는 마이그레이션이 안되는 것 같다. 검색한 방법으로 시도했으나 결국 하지 못했다. 기존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모두 백업해서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있는데 그 방법을 시도하자 32비트에선 수행이 안된다는 메시지를 받고 포기했다. 아마 32비트 설치 파일이 있으면 가능할지도 모르겠다. 위 링크 중 '윈도우 7으로 업그레이드하기'를 클릭하면 상세한 내용을 알 수 있다. 

     그래서, 그냥 새로 설치하는 것을 선택했다. 






     1. 먼저해야될 일은 바이오스에 들어가서 USB로 부팅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들어야 한다. 요즘 사용하는 대부분 컴퓨터는 그 옵션을 지원한다. 내 컴퓨터의 경우 부팅시 'Del' 키를 눌러서 Bios Setup으로 들어간다. 보통 Setup의 Advanced....하는 옵션에 보면 Booting Sequence라고 하는 곳에서 설정 가능하다. 

     2. 그 다음은 USB 미디어를 넣고 설치할 모멘터스 XT도 달았다. 그 다음 전원을 넣는다.

     3. 그 다음 USB 설치 부팅이 시작된다. 이후 언어, 키보드 설정 화면이 나오고 어떤 버전의 윈도우를 설치할지 묻는 창이 나온다. 원하는 것을 선택한다.

     4. 그 다음 중요한 것으로 설치할 방법과 설치할 드라이브 선택. 업그레이드 방식이 아닌 새로 설치를 선택했다. 만약 컴퓨터에 설치된 HDD가 많거나 종류가 비슷해서 구분이 힘든 경우 설치하는 기기의 모델명을 알아두는 것이 도움이 된다. 내가설치할 HDD의 시리얼 번호는 750이 들어가기 때문에 구분은 어렵지 않았다. 

     5. 이제부터는 거의 컴퓨터 혼자 작업하는 거라 보면 된다. 실제 윈도우 7이 설치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은 그리 오래 걸리지 않는다. 


     윈도우 7 설치시 주의 사항

     1. 만약 이미 다른 윈도우가 설치된 상태로 새 디스크에 윈도우를 설치하는 경우라면 설치시에 자동으로 '멀티부팅'이 가능하게 된다. 나의 경우 부팅 시에 Windows XP로 부팅할 것인지 Windows 7으로 부팅할 것인지 물어 본다. 필자는 시범적으로 한번 설치를 다른 디스크에 했기 때문에 실제 메시지는 옵션으로 3가지가 있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을 고민중이다. 현재 Windows XP에서 하는 작업도 있어서 Windows 7으로 모든 것이 가능해지기까지는 Windows XP를 유지하기로 했다. 그리고 Windows XP가 필요 없게 되었을 경우 멀티부팅을 고치는 방법을 찾아 볼 것이다. 

     설치한 드라이브로 바로 부팅을 시도했지만 Invalid 오류가 나면서 부팅이 되지 않았다.


     2. 보통 윈도우는 그 구매 방식이 일단 설치하고 최종 인증 여부는 온라인이나 전화 등으로 또 인증과정을 거쳐야 정식 버전이 된다. 그래서 일단 설치를 하려면 '시리얼키'라고 하는 번호가 필요하다. 현재 웹상에서 검색되는 번호는 다음을 클릭하면 나온다. 사용해본 결과 일단 설치는 가능하다. DVD에 붙어 있던 키나 저장해둔 키를 잊어 버린 경우 잘 활용하기 바란다.




      윈도우 7 얼티미트 64비트 버전 키


     3. 윈도우 7 인증은 이전과 같이 간단하게 이루어지진 않는다. 온라인이나 전화를 통해서 가능하다. 상세한 정보는 윈도우 홈페이지를 참조하자. 

    설치 완료

     : 설치 완료되었다. 이제 남은 것은 내가 투자한 12만원의 업그레이드 가치가 어느 정도인지 확인할 차례다.

     

    1. 2014/01/24 E2180의 32비트 윈도우 XP에서 Q9300 64비트 윈도우로 업그레이드하기 - 4부
    2. 2014/01/21 E2180의 32비트 윈도우 XP에서 Q9300 64비트 윈도우로 업그레이드하기 - 2부
    3. 2014/01/21 E2180의 32비트 윈도우 XP에서 Q9300 64비트 윈도우로 업그레이드하기 - 1부

     


    728x90

  • 2018.05.26 E2180의 32비트 윈도우 XP에서 Q9300 64비트 윈도우로 업그레이드하기 - 4부 (1)
  • 2018.05.26 E2180의 32비트 윈도우 XP에서 Q9300 64비트 윈도우로 업그레이드하기 - 3부
  • 2018.05.26 E2180의 32비트 윈도우 XP에서 Q9300 64비트 윈도우로 업그레이드하기 - 2부
  • 2018.05.26 E2180의 32비트 윈도우 XP에서 Q9300 64비트 윈도우로 업그레이드하기 - 1부

  • 들어가기 전

     : 구입부터 설치까지 꽤 시간이 들어가는 작업이다. 게다가 구입한 제품은 결코 싸게 구입한 것들이 아니다.  먼저 CPU부터 보도록 하자.


    CPU 구매 및 업그레이드

     : 구매는 58,000원에 했다. 판매자의 기록을 살펴보고 믿을 만해서 구입결정을 하게 된 것이다. 택배가 도착했다.

    풀어 보았다. 음 그래도 나름 꼼꼼하게 포장했네...


    CPU가 정말 내가 구입한 것이 맞는지 확인해봤다. 그러나 사용한 제품이라 글씨가 보이지 않았다. 결국 확인할 방법은 장착하는 수밖에.

    기준의 CPU를 해제하고 설치했다. 붙이는 것보다 떼는게 더 힘들었다. 워낙 오래간만에 만지는 거라.






    떼낸 잘만 쿨러. 소음이 없는 것으로 특별히 구입한 것이다.

    아래 사진은 빼낸 CPU, 즉 E2180.

    아래는 Q9300을 설치하고 난 뒤의 모습

    부팅 시도

    아래 화면에서 Q9300이라는 글이 보일 것이다.


    HDD 구매 및 업그레이드

     : 6만의 가격에 직거래로 구매했다. 작동은 잘하는 편.


    남은 AS의 기간이 궁금해서 시게이트 홈페이지에서 직접확인해 보았다. 다행이다. 2015년 9월까지 서비스 가능하단다. 

    이제 남은 건 윈도우 7 설치

     : 나머지 설치 과정은 3부에서


    1. 2014/01/24 E2180의 32비트 윈도우 XP에서 Q9300 64비트 윈도우로 업그레이드하기 - 4부
    2. 2014/01/22 E2180의 32비트 윈도우 XP에서 Q9300 64비트 윈도우로 업그레이드하기 - 3부
    3. 2014/01/21 E2180의 32비트 윈도우 XP에서 Q9300 64비트 윈도우로 업그레이드하기 - 1부



    728x90

  • 2018.05.26 E2180의 32비트 윈도우 XP에서 Q9300 64비트 윈도우로 업그레이드하기 - 4부 (1)
  • 2018.05.26 E2180의 32비트 윈도우 XP에서 Q9300 64비트 윈도우로 업그레이드하기 - 3부
  • 2018.05.26 E2180의 32비트 윈도우 XP에서 Q9300 64비트 윈도우로 업그레이드하기 - 2부
  • 2018.05.26 E2180의 32비트 윈도우 XP에서 Q9300 64비트 윈도우로 업그레이드하기 - 1부

  • 들어가기 전

     : 난 제품을 고를 때, 특히 컴퓨터를 고를 때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이 가성비다. 돈이 많다면야 내가 이런 고민할 필요가 없다. 충분하지 않은 금전적인 여유로 난 되도록이면 가성비를 선택한다. 그러나 컴퓨터 산업은 그 업그레이드 기간을 2년 정도만 주는 것 같다. 매 2년마다 새로 업그레이드하거나 새로 구입해야 하는 상황을 고의로 만든 것 같다. 



    업그레이드 감행 이유와 그 배경

     : 컴퓨터의 가장 큰 병목현상은 HDD다. 이전까지만해도 아마 업그레이드라하면 그저 SDD만 생각했을 것이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업그레이드를 감행하게 된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다.

     1. 윈도우 XP의 서비스 중단 소식. 

        : XP 서비스의 중단이 업그레이드를 감행한 결정적 이유는 아니다. 서비스는 끊기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XP에서 윈도우 7으로 자연스럽게 갈아타게 될 것이다. 그러면 컴퓨터 대부분의 보안 문제는 윈도우 XP에서 발생할 것이다. 물론 XP자체 내에 많은 문제점을 가지게 될 것이다. 특히 하드웨어와의 호환 문제와 새로나오는 소프트웨어와의 호환문제는 큰 문제가 될 것이지만, 앞으로 몇년 더는 XP는 그리 큰 문제 없이 사용가능하게 될 것이다. 게다가 XP뿐만 아니라 나에게는 선택사항이 있다. 바로 리눅스로 대표되는 무료 공개 OS. 리눅스에서 파생된 우분투라는 제법 쓸만한 제품과 리눅스를 기반으로한 안드로이드라는 운영체제는 윈도우를 대체하기에 부족함이 없는 OS다. 굳이 하드웨어를 업그레이드하지 않더라도 사용하기에 문제 없는 OS이기에.




     2. 32비트 운영체제의 램 사용 제한.

       : 4기가 시스템 램이라는 제한이 있긴하지만 8기가가 되더라도 그 남은 용량을 잘 사용할 방법은 있다. 그 방법이 있지만, 비디오 메모리가 1기가 정도가 된다면 이미 OS와 응용프로그램이 사용하는 공간은 3기가로 제한된다. 이럴 경우 하드디스크의 페이지 램 사용이 잦아지게 되고 시스템 속도가 느려지는 주요 원인이 되는 것이다. 그래서, 4기가라도 제대로 활용하려면 64비트가 필수인데 64비트를 사용하려면 지원하는 CPU는 필수다.

     4기가 램문제와 32비트에서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것은 다음을 클릭

     윈도우즈 XP에서 램 4기가를 모두 인식 못하는 경우 남은 부분 활용하기


     3. 그래픽 카드의 사용

       : 무슨 문제인지는 모르겠지만 지금 사용하는 그래픽 카드 Radeon HD4600시리즈는 윈도우 XP와 문제가 있는 것 같다. 듀얼 모니터 사용시에 컴퓨터가 느려지는 증상이 있고 특정상황에서 세컨더리 모니터에서는 동영상이 나오지 나오지 않는 문제가 있다.

     4. 높은 사양을 요하는 응용프로그램들

       : 게임등 많은 작업을 하는 통에 컴퓨터가 느려터진 경우가 많이 있고 특히 해상도가 높은 동영상의 경우 버벅거리는 문제가 자주 발생했다.


    업그레이드할 부품 선택

     : 컴퓨터의 병목현상인 HDD의 업그레이드는 당연한 것. 그 중에 SSD의 구매를 제일 먼저 고려했지만 비싼 가격으로 망설이고 있던 차에 그 성능에는 못 미치지만 그래도 쓸만한 모멘터스 XT구입을 결정했다. 그리고 CPU는 Q9300으로 그리고 램은 8기가로 업그레이드 선택. 윈도우 XP는 윈도우 7 64비트로.


      1. HDD를 SSD나 SSHD로 변경

        -> 구입방법 등 상세 내용은 다음을 클릭

         2014/01/19 SSD 중고 구입기 - 중고라고 할만한 낮은 가격이 있긴 하지만 그것을 구하기란 쉽지 않다.

          2014/01/08 왜 SSD는 새것과 중고의 가격차이가 이렇게 안나는 걸까?

     

     2. CPU를 듀얼코어인 E2180에서 Q9300으로 변경

        -> 구입 등 상세 내용은 다음을 클릭

         2013/11/02 중고 CPU 및 HDD 구매하기


      3. 램을 4GB에서 8GB로 변경 -> 이는 메인보드의 4G 제한으로 변경 불가.

      

    중고 하드웨어 구매

     : 중고나라에서 오랜 검색과 기다림 끝에 구매에 성공한 것은 

     1. Q9300: 1월 7일 58,000원 택배거래 구입

     2. 모멘터스 XT: 1월 21일 60,000원 직거래 구입

     

    부품 설치

     : 둘다 제품에 하자가 없었고 설치는 쉽게 되었다.

     각 부품 구매 설치 상세 정보는 다음을 클릭

    1. 2014/01/19 SSD 중고 구입기 - 중고라고 할만한 낮은 가격이 있긴 하지만 그것을 구하기란 쉽지 않다.
    2. 2014/01/08 왜 SSD는 새것과 중고의 가격차이가 이렇게 안나는 걸까?
    3. 2013/11/02 중고 CPU 및 HDD 구매하기



    1. 2014/01/24 E2180의 32비트 윈도우 XP에서 Q9300 64비트 윈도우로 업그레이드하기 - 4부
    2. 2014/01/22 E2180의 32비트 윈도우 XP에서 Q9300 64비트 윈도우로 업그레이드하기 - 3부
    3. 2014/01/21 E2180의 32비트 윈도우 XP에서 Q9300 64비트 윈도우로 업그레이드하기 - 2부


    728x90


    들어가기 전

     : 잘 아는 기종이 아닌 이상 중고 넷북과 노트북 구입은 정말 어렵다. 그리고 중고 노트북은 일단 새 제품에 비해서 그 가격이 많이 떨어져 있는 것이 보통이다. 일단 새 노트북을 사면 감가상각을 당하는 것은 이제 이상할 것 없다. 새 노트북을 지불하는 순간 다시 현금화하려 한다면 5만에서 10만 정도는 손해를 감수해야한다. 만약 넷북 같은 저렴한 제품일 경우 2만에서 3만 정도는 손해를 봐야 한다. 

     델 레티튜드 E6410 구매기는 다음을 클릭

       2014/03/10 델 래티튜드 E6410 구매기


    1. 천천히 사글어가는 노트북 시장

      컴퓨터에는 이상한 법칙 같은 것이 있다. 성능 좋은 쓸만한 제품들은 항상 100만원 정도를 넘겨왔다. 그리고 데스크탑도 게임이 가능한 제품은 100만원이 넘는다. 그래도 싼 제품은 그 가격이 데스크탑은 20 ~ 30만원 정도면 구할 수 있고, 노트북은 40 ~ 50만이면 제법 좋은 제품을 구입할 수 있다. 그만큼 가격이 떨어진 것이다. 그러나 노트북의 수요는 조금씩 줄어 들고 있다. 세계 PC 시장 축소는 이미 언론에 공개된 일이다. 이는 잡스의 혁신으로부터 스마트폰과 탭북이 그 자리를 차지하기 때문이다. 


    2.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스마트 컴퓨터 시장

     : 중고 시장만 봐도 스마트 계열 제품의 거래가 더 활발하다. 새제품은 더 말할 것도 없다. 본인도 빠른 시일 내에 스마트 계열로 넘어가고 싶다. 그리고 곧 쏟아져 나오는 노트북들은 골치거리가 될 것이고 자리만 지키고 있는 집안의 노트북 처리로 고민하는 사람이 많아질 것이다. 


    3. 중고 노트북 시장

     : 중고 노트북 시장엔 좀 특이한 점이 있다. 아예 오래된 중고는 가격 변화가 거의 없고 있다고 해도 오히려 비싸게 파는 것을 본적이 많다. 비교적 새제품의 경우 가격 하락이 큰 편이다. 그리고 거의 새제품이라고 파는 물건들이 많다. 또 고장난 제품을 구입해서 수리한 후에 파는 업자들도 많이 보인다. 





    4. 중고 노트북 시장을 기웃거리는 이유

     : 본인은 고장난 노트북 2대와 넷북 2대를 보유하고 있다. 부품 한 두개가 고장나서 다른 부품이 고장난 중고를 구하는 것이 그 목표다. 


    5. 가격에 비해서 성능이 좋은 노트북 찾기

     : 그 시작은 CPU의 성능과 기타 부품의 성능을 비교하는 것으로 하기로 했다. 그래서 아래는 CPU의 성능과 가격 등을 고려해서 뽑은 목록이다.

     

     가격대 성능비가 좋은 CPU 목록.

    Intel Core2 Quad Q9100 @ 2.26GHz

    Intel Core2 Quad Q9000 @ 2.00GHz

    Intel Core2 Duo T9900 @ 3.06GHz

    AMD A8-3520M APU

    AMD A8-3530MX APU

    AMD Phenom II X620 Dual-Core

    Intel Core2 Duo T9800 @ 2.93GHz

    AMD Phenom II P960 Quad-Core

    AMD Phenom II N870 Triple-Core

    Intel Celeron B840 @ 1.90GHz

    Intel Core2 Duo T9300 @ 2.50GHz

    Intel Pentium 2117U @ 1.80GHz

    Intel Pentium 2117U @ 1.80GHz 1,640 NA

    AMD Turion II N550 Dual-Core 1,638 NA

    AMD Turion II Ultra Dual-Core Mobile M640 1,636 NA

    Intel Core2 Duo T7800 @ 2.60GHz 1,627 $607.99*

    Intel Core2 Duo P9300 @ 2.26GHz 1,625 NA

    AMD Turion II N530 Dual-Core

    Intel Celeron B830 @ 1.80GHz

    Intel Celeron B820 @ 1.70GHz 1,464 NA

    Intel Core2 Duo P8400 @ 2.26GHz 1,462 $197.79*

    Intel Celeron P4600 @ 2.00GHz 1,455 NA

    Intel Celeron 1007U @ 1.50GHz 1,450 NA


    아래를 클릭하면 CPU 성능별 순서로 정리된 목록이 있다. 그 중에서 가격대비 성능이 좋은 것 혹은 구형인데 제법 좋은 성능을 가진 CPU만을 추린게 위에 있는 목록이다. 전체 목록을 보려면 아래를 클릭하자.

    랩톱용 CPU 성능별 순서 목록


    5.1 해당 CPU가 사용된 노트북 모델 찾아 보기

     : 먼저 최우선 순위에 있는 Q로 시작되는 CPU 탑재 모델을 찾아 보기로 했다. 그런데 어려움에 봉착. 그냥 칩셋만 있다고 해서 지원되는 것은 아니고 쿼드코어의 경우 전원까지 지원해야 되서 무조건 지원되는 것은 아니었다. 특정 노트북은 업그레이드를 시도했다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는 글을 읽었다.


        5.1.1 Q9100 CPU 탑재 가능 모델

     레노보

       : ThinkPad W700, 

     도시바

       : Dynabook CXW47HW, Qosmio F50W, Qosmio FXW, Qosmio GXW 

     삼성

       : NT-R710, 

     LG

      : 

     HP

       : Compaq 6730b, 8530w, HDX18t, DV7, 

     아수스

       : G51VX, G71GX, 

     MSI

      : GT725 MS-1722, GT627, GX720, 

     에얼리언 시리즈

      : M17x, 

     에이서

       : 5315, 어스파이어 7730g, 8735g

     델

      : 프리시존 M6400, M4400, 


    참고 : 에이서 아스파이어 7730g 쿼드코어 q9100 업그레이드 동영상


       5.1.2. T9900, T9800, T9600, T9300, T7800 CPU 탑재 가능 모델

    레노보

       : W500, T61W, 

     도시바

       : 새틀라이트 M300, A300, 포테제 M800, 

     삼성

       : 

     LG

      : Xnote P510, RB500, P300, 

     HP

       : 컴팩 프리자리오 V3700, 컴팩 6520S, 8710w, 

     아수스

       :  G50VT, F3S-샤인, F8SR, F9Sg, M51Sr, W7Sg, 

     MSI

      : PR200X, 

     에얼리언 시리즈

      : 

     에이서

       : 

     델

      :  프리시전 M2300, M2400, 래티튜드 E6400, XPS M1530, D630, 

     후지쯔

      : E8410, S6510, 

     삼보

      : 에버라텍 8500, 






       5.1.3. 기타 하위 CPU 탑재 모델.

                  레노보

       : T400(P8700) - 18만 2014 2월 21일

     도시바

       : 

     삼성

       : 

     LG

      : 

     HP

       : 

     아수스

       :  

     MSI

      : 

     에얼리언 시리즈

      : 

     에이서

       : 

     델

      :  

     후지쯔

      : 

     삼보

      : TS-401(T660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