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디보스톡(6월 17일) -버스- 우수리스크(당일치기, 6월 22일) -기차- 하바롭스크(당일치기, 6월 24일 7시경 도착) -기차- 울란우데(6월 26일) -버스-이르쿠츠크(6월 30일) -기차- 노보시비르스크(7월 5일) -기차- 예카떼린부르그(7월 8일) -기차- 카작 아스타나(7월 13일) -비행기- 카작 알마티(7월 17일) -버스- 키르기즈(7월 25일) -버스- 카라콜(7월 28일) -버스 및 도보- 알틴아라샨(7월 31일) -도보- 카라콜(8월1일) -버스- 토소르,발륵치,부라나타워,비쉬켁(8월 2일) -비행기- 모스크바(8월4일) -기차- 뻬째르부르그(8월 8일) -버스- 에스토니아 탈린(8월 14일) -버스- 라트비아 리가(8월 14일) -기차- 라트비아 유르말라(8월 16일) -기차- 라트비아 시굴다(8월 17일) -버스- 리투아니아 빌니우스(8월 19일) -버스- 리투아니아 트라카이(8월 20일) -버스- 리투아니아 카우나스(8월 21일) -버스- 폴란드 바르샤바(8월 22일) -버스- 폴란드 크라쿠프(8월 26일) -버스, 나이트버스- 체코 프라하(8월 27일) -버스- 체코 브르노(BRNO, 9월 2일) -버스- 오스트리아 비엔나(9월 2일) -버스-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9월 4일) -버스- 헝가리 부다페스트(9월 5일)
=====
예카테린부르크라는 도시는 노보시비르스크와 비교해서 아주 특이하다 생각되는 건 없없다. 인구도 150만 정도로 비슷한 것 같고. 하지만 우연인지 아닌지 방문했을 당시 한 공원에서 1년마다 하는 음식 축제 같은 것을 하고 있더라고. 그거 보는 재미가 있었지. 그리고 또 다른 점은 옐친 센터가 있다는 점. 그 외에는 분위기나 뭐 많이 비슷했어.
내가 굳이 예카까지 오게 된 건 여기를 꼭 방문해보고 싶어서라기보다, 노보시비르스크까지는 어찌 꼭 가야 하게 된 상황이었는데, 카작 아스타나로 가는 건 노보시비르스크보다 여기 예카에서부터서 거리상 더 가까웠거든. 그 얘기는 가격이 더 싸진다는 거니까.
예카테린부르크 여행 요약.
1. 예카테린부르크는 인구가 140만 정도이고 아세티강을 끼고 있다. 여기는 카작으로 좋아서였다. 거리 상으로는 옴스크에서 가는 게 가장 빠르긴 하지만.
2. 1924년 10월 14일 ~ 1991년 9월 4일, 스베르들롭스크(Свердловск)라는 이름이었으나 1991년 소비에트 후 다시 옛 지명인 예카테린부르크가 된 거래. 도시 지명은 표트르 대제의 부인이자, 훗날 여제로 등극하는 예카테리나 1세의 이름을 따서 지은 거래. 그리고 여기에는 600개가 넘는 문화 유적이 아주 많단다. 그런데 나는 많이 보지는 못했네... 그리고 예카테린부르크는 '우랄'의 중심지라고도 할 수 있다. 언어학에서 듣전 '우랄-알타이' 어족이라는 말에 나오는 우랄이 바로 여기였던 거다. 여기를 여행하다보면 '우랄'이라는 말을 아주 많이 보게 될 것이다. 우랄은 유럽에 가까운 산맥이고 알타이 산맥은 중앙아시아에 가까운 산맥. 이걸 보면 이런 불류 방법이 얼마나 서양중심적인지 알 수 있지. 자세히 알아보지도 않고 걍 '우랄-알타이'를 묶어버리다니 말이지.
내가 갔을 때 복싱, 아니다 이중 격투기라고 해야 하나... 어쨌든 경기하고 있었다. 주변에 보안 경비도 많이 있었고... 저들이 누군지는 모르겠지만 꽤 유명한 사람들이었나 보더라고. 일본인하고 러시아가 싸우는 경기였거든.
4. 이세티 강 구경한 곳
내가 갔을 때 약간 강이 범람했더라고. 물이... 비가 많이 왔었나? 지구 온난화의 글로벌 현상인가? 뭐 별별 생각이 다 들었지만, 구경은 계속 해야 하니.. 저기서 나를 만난 건 '오리'와 비둘기였네. 사람이 없었던 건 아침이었으니까....
또, 나를 반긴 게 있었지.. 그건 강아지, 개들. 다양한 개들이 모여 있어. 한놈은 나를 인식했었군. 사진 포즈인가?
5. 러시아 함대 300주년 기념비("300 лет Российскому флоту")
1996년을 기점으로 러시아 함대가 300년이나 되었는갑네. 한국은 이런 이어진 역사가 없어서 아쉽네. 어떤 나라건 그 나라가 강대국으로 되었거나 강한 힘을 유지하는 데는 다 이런 이유가 있다고 본다. 어느 나라라고 애초부터 큰나라에서 시작되었던가? 한나라의 언어와 문화 그리고 그 가치가 오랜 역사까지 이어오는 이유는 분명 있는 거다. 한국이 그나마 이따위 명맥을 유지하는 것도 이유가 있고. 제발 한국은 그노무 '사대' 정신 좀 버리고 자국 자취 자립의 정신을 다시 다졌으면 한다. 지금도 '친미'할 거냐 아님 '친중'할 거냐로 지랄발광하면서 싸우고 있는 작태를 보자니... 웃기기 짝이 없는거나. 우리 '친한'하면 안될까?
그해를 기점으로 심지어 300주년 기념 메달도 제작했었더라고... 지금은 없지만...
오, 뭔 행사를 하네... 이런 행사를 하다니 하면서 봤다. 딱이다 그지. 딱 이틀동안 하는 행사인데 어찌 이렇게 시간을 잘 맞춰서 말이다.
6. 수상 카페?
뭘까나? 안에는 뭐가 있을까나? 왜 그때는 저 안이 궁금하지 않았을까? 궁금하면 들어가봤어야지하는 후회가 막막 생기네. 저런 건 보통 식당이나 카페일테니까... 배처럼 울렁울렁 움직이는 곳에서 커피하고 그런 건가? 아님 다른 목적의 건축물인가? 궁금하네...
2
예카테린부르크 도보 여행
7. 언론인의 집
해변가의 목조 건물이라... 이름은 '언론인의 집'인데 여기에 유명한 언론인이 살았는 갑더라.
안에 언론인의 동상도 있고... 한번 들어가보고 싶었는데 문이 잠겨 있어서 들어가지 못했다.
8. 우랄 작가 연합 박물관 실내 극장
(Камерный Театр Объединенного Музея Писателей Урала)
여기 근처에 우랄과 관련된 각종 박물관이 다 모여 있다. 우랄 문학이니 문화니 하면서 말이다. 여긴 극장이다. 우랄이라는 이름을 처음 읽게 된 게 여기이고.
9. 피터와 빼브로니 기념비(Памятник Петру и Февронии)
정확한 이름은 "기적을 이룬자 축복받은 무롬의 피터 왕자와 페브로니아 왕녀의 기념비(Памятник Святым Благоверным князю Петру и княгине Февронии Муромским Чудотворцам)"로 긴 이름이야. 구글에서는 생략해서 올려놓은 거지.
체르나얍스키가 만들었데. 페떼르와 페브로니아 공주를 기념한 건데. 이 커플이 페테르는 왕자이고 페브로니아는 가난한 농민 소녀였데. 뭐 동화에서나 나올법한 이야기. 반대가 심해서 심지어 왕자는 권력까지 포기하기로 했고 망명을 시도했지만 실패. 이후 무롬으로 돌아와 행복하게 통치했단다. 게다가 이 부부는 1228 년 7 월 8 일 같은 요일과 시간에 사망했고 같은 하나의 관에 묻였단다.
그리고 여기에서 한 러시아 아주머니를 만났는데 나에게 말을 걸더라고. 한국인이냐고 물어보고... 맞다고 했더니. 자기 남편이 한국인이래. 햐!! 그래서 나에게 이렇게 말까지 걸어주고. 즉, 고려인이라는 거지. 러샤는 이렇게 훨씬 이전부터 다민족 국가였어. 러시아 스킨헤드 인종 차별 어쩌고 하면서 뉴스에 나오고 했었는데, 실제로 가보면 미국보다 그게 덜하다는 게 내 생각이다. 미국은 가보진 않았지만. 이것도 우리나라가 얼마나 미국 중심적인 문화에 쩔어 있었는지 잘 보여주는 사례가 아닐까?
10. 니콜라스 2세 가족 기념비(Памятник семье Николая II)
왕족인 니콜라스 2 세와 그의 가족이 설해당한 비극적인 사건을 그리고 있단다. 이것 때문인지 이게 있는 성당의 이름이 피의 성당이고. 이 기념비가 세워진 곳이 이 왕실 가족이 사망한 장소래.
청동으로 된 상이고 7 가족을 묘사한 거다. 러시아 가족이라는 단어가 이 7에서 온 건데.. 우연인가? 조각가는 구르누베르그와 마자예브란다.
=====
: Life has ups and downs. 인생사 세옹지마... 여행도 마찬가지... 하지만 유럽 여행을 돌고 온 나는 할말이 많아졌다... 여행이라는 것 자체에 대해서도 다시 생각하고 있다..
헝가리까지의 여행을 나름 정리해본다.
1. 생각 많이 나는 도시는, '블라디보스톡', '울란우데', '알마티', '카라콜', '라트비아 시굴다', '리투아니아 카우나스', 체코 '프라하', 독일 '드레스덴' 정도다. 그리고 상트 뻬쩨르부르크는 그 유명 관광지가 아니라 우연히 발견한 젊은이들의 대안 문화 장소가 가장 좋았다. 위치는 아래에 설명해 놓겠다.
2. 러시아 내에 다양한 도시들 정말 많다. '야쿠츠크', '카잔', '사마라', '불가그라드' '소치' 같은 곳을 꼭 방문해보고 싶다. 이번에 가지 못한 곳이다. 물론 유럽의 다른 나라도 마찬가지다. 어느 나라든 2~3회 정도 매번 7일 정도 살아봐야 정말 그 나라 가봤다고 할만하다고 본다.
3. 시간이 많다면 러시아를 거쳐서 유럽에 오는 건 정말 좋은 계획이다. 러시아에서 중국일부, 몽골 그리고 중앙아시아를 덤으로 가볼 수 있다. 구러시아 시절 만들어진 철로가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는 것도 주머니 사정이 넉넉하지 않은 배낭 여행객에 좋은 옵션이기 때문이다. 러시아 곳곳을 가보겠다는 계획이 있다면 60일(비자기간, 최장 90일)로는 부족할 것이다. 아니 불가능하다고 본다. 15일 단위로 2 ~ 3 주요 도시 방문을 권장한다.
5. 러시아는 일단 '부킹닷컴'이다. 러시아 평이 많은 곳은 피하라. 최저가보다 조금 더 비싸면서 다양한 나라의 언어로된 평가가 잘되어 있는 곳을 선택하면 후회 없으리라. 유럽 쪽으로 넘어가면 호스텔월드(Hostel World)가 좋다. 여기 평은 대부분 정확한 편이다.
6. 러시아는 7일 이상 거주하게 될 경우 거주 등록이 필요하다. 거주 등록은 호텔에서는 자동이다. 호스텔은 수수료 뗀다. 200루블에서 다양하다. 부르는 게 값. 원래는 받아선 안되고 호스텔 주인의 의무다.
7. 상트에서 거주 등록과 저렴한 숙소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곳은 "inBox Capsule Hotel"이다.
8. 가장 후회되는 점은 시베리아 열차를 너무 많이 탔다는 거고 다양한 등급을 시도안해보고 무조건 저가만 탔다는 거다. 그리고 이로 인해서 정해진 기간인데 러시아에서 너무 많은 시간을 소비해버렸다는 거다.
9. 70일 정도 쯤에 이상하게 긴장이 풀려버렸다. 더 주의해야 하는 데 주의 태만한 것으로 본다. 환전 실패로 멘붕이 왔다. 나의 유리 멘탈이 그대로 드러났고 이후 빡빡한 일정에 빵꾸가 생겼다. 폴란드는 내가 간 최악의 나라가 되어 버렸다.
10. 발틱 3국은 한나라라고 생각하고 돌아다녀도 무방하다. 한나라에 3개 대도시와 그 주변 도시를 선택적으로 간다고 봐도 된다.
11. 어느 여행지나 마찬가지겠지만 선택의 폭은 넓다. 여행지 주요 관광지냐, 주변 클럽 유흥가냐 선택은 여러분의 몫이다. 하지만 러시아나 발트 3국보다는 동유럽을 권장한다.
12. 여러분이 호스텔에서 자주 숙박한다면, 에스토니아부터 많은 일본인을 보게 될 것이다. 러시아 여행까지 사실 일본인을 거의 보지 못했다.
13. 도대체 유럽이 뭐가 좋다고 호들갑인지 모르겠다. 물론, 영국, 프랑스, 스위스, 네덜란드 및 북유럽 등 주요 여행지를 가보지 않아서일지도 모른다. 여기서 본인이 원하는 여행 스타일을 잘 생각해서 여행지 우선 순위를 정하길 바란다.
필자가 중요시하는 '가성비'를 생각했을 때 '유럽'은 비추다. 낭만을 좋아하는 여친이 있다면 유럽 유명 여행지는 '여친'과 같이 가길 권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