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2018.04.22 한사람을 위한 박물관 치고는 꽤 규모가 컷던 - 김만덕 기념관 2부
  • 2018.04.21 한사람을 위한 박물관 치고는 꽤 규모가 컷던 - 김만덕 기념관 1부


  • 한사람을 위한 박물관 치고는 꽤 규모가 컷던 - 김만덕 기념관 1부


     한국에서 유명한 한사람만을 위한 박물관이나 기념관을 보기는 했는데 일단 내 기억상으로는 김만덕 기념관이 가장 큰 것 같다. 마치 한편의 위인전을 읽는 느낌이었다고나 할까... 게다가 공짜이니 방문안할 이유가 없다.



    1

     김만덕 기념관


     공원에서 김만덕의 존재를 알게되고 지도에 기념관이 있다는 걸 발견한 후 여기를 거치는 걷기 경로를 짜서 가게 된 거다

    김만덕 기념관




     김만덕 기념관이라고 쓰고 '김만덕 나눔 박물관'이라고 읽으면 된다. 김만덕에 대한 드라마도 있다더라. 여기와서 알았다. 꽤 오래전 만들어졌던 드라마고 다음이 그 링크다.

     

     링크: https://namu.wiki/w/%EA%B1%B0%EC%83%81%20%EA%B9%80%EB%A7%8C%EB%8D%95






    딱 들어가보면 정말 잘 되어 있구나 하는게 느껴짐. 돈 많이 들였다라는 느낌이 팍팍. 게다가 내가 지금까지 본 사물함 중에 가장 성능이 좋은 게 아니겠는가? 최신 엘리베이터에 매일 청소한 듯한 깔끔한 바닥과 천장. 건물 자체도 모두 최근에 지어진듯한 모습. 아마 세금이 많이 들어간 게 아닐까 생각한다. 그리고 제주 도민의 적극적인 합의도 있었을 거라고 본다.


    안으로 들어가면 김만덕의 생애가 바로 이어진다.




















     먼저 바로 정도의 이야기부터 이어지는 게 좀 특이했다. 어린시절부터 이어질 줄 알았는데... 바로 김만덕이라는 사람이 왜 제주 사람들에게 아직도 기억되고 있고 또 이런 기념관이 제주에 있는 이유가 바로 나오더라. 








    2

     박물관 탐험


     : 정말 규모가 큰 편인 거다. 누군가 단 한사람을 위한 것치고는 말이다. 제주도라서 가능한 건가? 이제 관광도시니까...








     : 조선시대의 사회 계층에 대한 설명도 있고 또 여자로서 얼마나 성공하기 힘들었는지도 나온다. 왕의 교서도 나오고.. 그 당시 생활상도 나오네... 







     : 제주 제일의 거상이 되었다는 이야기. 그리고 어떻게 그렇게 거상이 될 수 있었는지 등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 2018.04.22 한사람을 위한 박물관 치고는 꽤 규모가 컷던 - 김만덕 기념관 2부
  • 2018.04.21 한사람을 위한 박물관 치고는 꽤 규모가 컷던 - 김만덕 기념관 1부

  • 728x90


    삼다수에서 만든 건가? - 제주물사랑홍보관


     김만덕 기념관으로 가려다가 만난 곳임. 제주 물사랑 홍보관이라... 이런 건 본적도 없는데. 일단 무료고, 화장실 이용도 할 수 있고 물도 한잔 할 수 있는 곳. 정수부터 제주 물에 대한 게 전시되어 있음. 내가 갔을 당시 홍보관에는 아무도 없었다는... 방문객도 거의 없는 모양.



    1

     제주물사랑홍보관


     우연히 만나서 그런지 꽤 좋은 흥미거리였다. 많이 걸어서 좀 지친 상태였기도 하고... 무엇보다도, 공짜니까...   


    제주물사랑홍보관 위치


     금산수원지라고 하는 곳이 있던 곳이었다. 여기 수도국에서 운영하는 곳 같더라. 주변은 대충 이렇게 생겼고 원래는 금산 생태원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던데.






     물사랑 홍보관 안에 들어가 보았더니.... 이렇게 잘 만들어 놓았더라. 물의 중요성은 물론이고 정수하는 시설 등까지... 






     물론 이런 걸 만들었으면 그 역사까지 다뤄야 하겠지... 물은 생명의 정수나 마찬가지다...





    2

     박물관 탐험


     : 1층에서 2층까지 있었고, 수원에서 우리집의 수도꼭지까지 물이 오는 과정을 잘 설명해놓았고 또 물과 관련된 기술의 역사도 잘 정리되어 있다. 










     : 박물관, 전시관의 단골, 극장도 있고... 요즘의 최신 경향임. 사진 그냥 감상을...






    728x90


    시간 나면 한번 가볼만한 제주 사라봉 공원


     공원, 여행가면 거기 시민들이 자주 찾는 유명하다는 공원은 가보는 편이다. 보통 트립어드바이저 같은 데에 추천되어 있기도 해서 말이지. 공원은 한 나라의 국민이 자연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여유를 어떻게 보내는지 볼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되기도 한다. 

     그리고 공원을 찾는 것을 개인적으로 좋아하기도 하고...



    1

     사라봉 공원


     여기 '김만덕'이라고 하는 조선 최초의 CEO라고 하는 한 여성의 무덤이 있고 또 그를 기리는 제단 같은 게 있는 곳이기도 하다. 산에 형성되어 있어서 좋은 전망을 제공하기도 하고... 


    사라봉 공원




     김만덕 묘비라고... 나중에 김만덕 박물관에 가서 안 거지만 제주도민이 이렇게 그를 기리는 데 이유가 있더라. 제주가 정말 힘들 때 '나눔'으로 도와준 여성이었다는 거!!! 조선 시대가 여성에게 어쩌고 하면서 힘들었다라고도 하는데 이처럼 거상이 될 수도 있었다는 걸 보면 어느 정도는 여성에게도 선택은 할 수 있었다는 거 아닐까?





     그러고 보면 공원이라는 공간은 그 도시의 역사를 이런식으로 담고 있기도 하다. 유럽이나 러시아의 도시를 돌아봐도 그렇고... 그리고 그 공원이 얼마나 잘 관리되어 있냐에 따라서 또 그나라의 경제라든지 시민 의식이라든지 등을 엿볼 수도 있고... 





     김만덕 기념비다. 묘지에 기념비도 모자라서 기념 전시관도 있다. 헐!!! 물론 충분히 그럴만도 하다고 본다. 그리고 이렇게 하는 제주도민이 옳다고 보고 있다...






    2

     보자... 공원...


     : 여기 저기 잘 만들어 놓기도 했고.. 그리고 여기 또 3.1절 기념비도 있더라는... 공원에 보통 이런 게 전시되어 있는 경우가 많기는 하지... 





     : 여기 한 가지 아쉬운 게 한국의 여느 평범한 공원과는 달리, 입구를 제외하고는 막혀 있더라는 거... 보통 한국은 개방형이라서 어디서든 공원에는 들어가는 게 가능한데... 아마 워낙 많은 중국인의 방문 등으로... 이후에 만들어진 게 아닐까 짐작해본다. 그러면 어느 정도 이해는 한다만... 좀 불편했다... 나가기 위해서 다시 돌아가야 한다니... 




    728x90


    제주 우당 도서관


     한국의 도서관도 대부분 무료이긴 하지... 책을 빌리는 데 제한이 있긴 하지만.... 그리고 도서관은 혼자서 조용히 책읽으며서 시간 보내기에 정말 좋은 장소이기도 하고... 저렴하게!!!


    1

     제주 우당 도서관


     우당은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이 그의 부친이자 제주도지사를 역임한 우당 김용하 선생을 기리기 위해 설립하여 제주시에 기증한 도서관이란다. 그 김용하의 호가 바로 우당이다라는 거지...


    제주 우당 도서관




     도서관 건물이 좀 특이하던데... 중앙에 위층까지 뚫린 형태고 또 그렇게 계단이 나있는 형태인데 오래전에 유행했던 형태다.






     도서관 부지도 그렇고 건물도 그렇고 꽤 오래되긴 했는데 좋아 보였음. 좀 특이하게 지어긴 건물이기도 하고. 하지만 여기에 '사물함'을 찾아볼려고 했는데 없더라. 좀 아쉬웠던 부분이다. 




    2

     우당 도서관 안으로 들어가 볼까?


     : 한국에서 내가 좋아하는 것 중에 하나가 바로 도서관 시설이다. 뭐랄까, 다른 나라에 비해서 정말 잘되어 있다. 전통적으로 책 등을 중요시하는 한국의 그 문화와도 깊은 관련이 있다고 봐야겠지...











     : 여기는 외국에서 한국을 찾은 여행객에게 해주고 싶은 말인데, 한번 정도는 한국의 국립 도서관을 방문해봄직하다. 그 체계나 시설 등을 한 번정도 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한국의 현재의 모습도 짐작해볼 수 있고 말이지. 

     

     여기 와서 처음 알았다. 도서관 관련해서 종합적인 어플도 있고 또 뭔 행사같은 것도 많이 한다는 걸 말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