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배경 : 우크라이나의 위기가 향후 전세계 위기가 될 수 있다.


 2월 28일의 상황을 보여주는 동영상은 현재 삭제된 상태.


 : 이 동영상을 보면 알겠지만, 실제라고는 믿기지 않는 장면들이 몇가지 나온다. 시민을 향해서 실제 발포하는 현장이 고스란히 담겨 있고 스나이퍼가 쏜 총알에 맞아 그 자리에서 쓰러지는 모습이 나오고 총 맞는 모습도 나온다. 한마디로 전쟁아닌 전쟁을 방불케 하는 것이다. (이후 추가: 유튜브에서 위 동영상은 삭제되었다.)

 이 동영상은 현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한 나의 호기심을 증폭시켰다. 그러나 그 배경을 자세히 알기에는 미국의 언론은 편파적일 수 밖에 없어서 어떤 기사를 믿어야 될지 모르는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꽤 흥미있는 동영상을 하나 발견했는데 우크라이나 사태의 배경을 설명하는 것이다.  

 : 이 동영상을 요약하자면, 직접적인 배경은 현 우크라이나 대통령인 빅토르 야노코비치가 모스크바의 압박을 못이겨서 유럽과의 계약 및 협약을 깨버리는 등 친 러시아로 돌아선 것이 직접적인 이유라는 것이다. 그 이후 수많은 우크라이나 사람들이 정부의 핵심 건물들을 장악하기 시작했던 것이다. 그리고 시위자들은 현 대통령의 퇴임을 주장하고 헌법을 개정할 것을 요구했다는 것이다. 그 이후 대통령은 시위진압 경찰들에게, 즉 전경들이 시위의 핵심이라고할 수 있는 마이단 광장에서 시위대를 모두 몰아낼 것을 명령한 것이 위에서 보는 격렬한 시위의 원인이 되었다는 것이다. 


  물론, 이런 일이 발생한 것에는 우크라이나의 정체성과도 관련이 있다. 지리적 위치로 봤을 때 유럽과 러시아의 중간에 위치해서 서쪽에는 유럽과 친한 사람들이 더 많고 동쪽에는 러시아와 친한 사람들이 더 많은데 유럽 연합에서 빠져 나온다는 선언에 국민들이 화가 난 것이다. 

 이와 함께 또 볼한만 동영상이 하나 있는데, 그 유명한 해커 그룹 어나니머스란 이름으로 공개한 것이 그것이다. 

: 이들의 메시지에 근거한다면 지금 시위는 유럽과 미국의 악질자본이 뒤에 있으며 그 증거로 시위 지도자와의 이메일 내용과 자금 흐름이 공개되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기본적으로 주장하는 것은 우크라이나에 제 3국이나 3자의 개입을 거부한다는 것이다. 

 이후, 대통령는 러시아의 군사적 개입을 요청했는데 2월 18일 일부 군이 크림지역에 진입했고 중요 지점을 장악했다고 한다. 맨위에 볼 수 있는 동영상이 아마도 러시아군이 개입한 모습이 아닌가한다. 

 

 우크라이나의 근황과 위 동영상의 설명

 이후 이야기는 이렇다. 러시아 대통령 푸틴은 군을 보내겠다는 발표를 한다. 러시아 상원은 만장일치로 우크라이나에 군을 보내겠다고 승인했고 이에 미국은 즉각적인 중재를 요청했고 러시아 군의 철수를 요구했다. 

이 후 시위대와 군 그리고 스나이퍼의 대치로 적어도 77명이 죽었다고 한다.

 처음 시위대가 거리로 나온 때는 11월 26일로 이날 우크라이나 정부는 유럽 연합 가입을 거부하고 친러쪽으로 이동했다.


 러시아 군의 도움으로 다시 친러시아가 크리미아의 주요 거점을 확보하게 된다. 

 이후 이야기는 이렇다. 러시아 대통령 푸틴은 군을 보내겠다는 발표를 한다. 러시아 상원은 만장일치로 우크라이나에 군을 보내겠다고 승인했고 이에 미국은 즉각적인 중재를 요청했고 러시아 군의 철수를 요구했다. 

 러시아가 장악한 크리미아의 모습

 


: 러시아를 다시 환영하는 시민들의 모습.


 어찌되었건 우크라이나도 친유럽과 친러라는 2개 세력으로 분리되어 있다. 다음을 그것을 볼 수 있는 동영상 하나. 이전에 장악했던 친유럽 시위자들이 모여 있는 모습.

 


개인적인 사견과 전망

 : 전쟁을 좋아하는 미국이라는 나라. 이것을 빌미로 삼아 또 다시 전쟁을 시작하지 않을까?하는 우려를 해 본다. 전쟁 없이 한 동안 평화로웠다고 할 수있는 미국이 아닌가? 그렇게 전쟁을 좋아 하는 녀석들인데 이번 기회를 그냥 보낼까? 심지어는 우크라이나 국기를 내리고 러시아 국기를 다는 모습까지 있으니. 

 뭐랄까? 세상은 이제 서양과 미국의 진짜 얼굴을 보았다고 할까? 위키리크스와 폭로와 용감한 내부고발자의 역할이 없었다고 할 수 있을까? 그동안 악행이란 온갖 악행을 저질렀던 유럽과 미국이 아니었던가? 

 이에 우크라이나 사람들이 차라리 러시아로 돌아 선 것인가? 어쨌든 개인적으로는 미국의 편이 되지는 않았으면 한다. 그럴리도 없겠지만. 

  최근의 상황은 뉴욕타임즈 블로그로 들어가면 자세한 소식을 볼 수 있다. 해당 블로그로 가려면 '여기'를 클릭.

중립적인 듯 객관적인 듯하면서 보여주는 언론의 편파성

 : 여러 언론에서 보여주는 소스들을 보았다. 그 중에 그나마 중립적인 위치에서 보도하는 방송은 '알자지라 잉글리시(Al jazeera English)'였다. 미국의 방송국인 CNN, NBC 등과 영국의 방송국인 BBC 등은 러시아의 개입에 대한 부정적인 영상을 내보내는 편이었고 러시아 방송인 RT는 반대로 러시아에 우호적인 모습의 동영상이 많았다. 


그외 그 때 상황을 그대로 담은 동영상들 소개

 친러시아 시위자가 주요 건물을 장악하는 모습. 

 

 : 마치 공성전을 연상시킨다. 전투경찰을 몰아 내고 건물까지 들어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728x90


김해의 재밌는 간판 2개

역시 지방에는 재밌는 간판들이 한 두개씩은 있다. 김해의 부원이라고 하는 곳은 김해 시청에 가까운 동네인데 일종의 유흥가의 모습을 한 곳이 있다. 아니 한 때 화려했던 흔적인 남은 곳이 있는데 그곳에서 발견한 간판 2개를 소개한다. 

 노래방에 '고추'란 이름을 붙일 수 있을까? 

 노래방

: 당당하게 빨간 고추 모양의 노래방.






노래 주점

그리고 주점이름 '보이지'. 물론 영어의 'Voyage'겠지만 영어는 온데 간데 없고 한글로만 딱 적어 놓으니 착각하기 쉽상이다.




728x90


탑 5 인스턴트 커피


인스턴트 커피는 원래 군대 연구의 도움으로 만들어진 기호 상품. 순수 커피 애호가들은 뭐 이런걸 마시냐고 할지는 모르겠지만 어쨌든 내 어린시절 이 커피가 정말 커피인줄 알았고 지금도 다방을 비롯해서 가정집에는 하나 정도 있는 상품이 아닐까?

인스턴트 커피의 장점이라면 싸다는 것, 그리고 쉽게 먹을 수 있고 이동시에는 가볍게 들고 다닐 수 있을 만큼 편리하다. 에스프레소 머신을 들고 다닐 수는 없잖은가? 하지만 그 향을 그대로 간직하는 기술에는 한계가 있는 법이다. 다른 커피 제조방식을 따라갈 수는 없잖은가? 

이런 와중에 인터넷 검색을 통해서 한국에서 알려진 맥심이니 맥스웰이니 프렌치카페니 주위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그런거 말고 뭔가 새로운 뭔가 특이한 것은 없을까해서 검색해 보았다. 한정된 한국의 제품 종류와는 상반되게 정말 종류도 많았다. 그중 가장 좋다고 하는 5개를 추려보고 각 제품을 살펴 보려고 한다.

1. 스타벅스 비아 레디 브류 콜롬비아(Starbucks VIA Ready Brew Colombia)

: 전반적으로 뛰어난 품질로 유명하다. 스타벅스라는 회사가 이런 인스턴트도 만든다는 사실에 놀랐다. 나중에 글로 쓰겠지만 한국에서 판매되는 제품의 가격은 놀랄만큼 비싸다. 특히 미국에서 판매되는 제품에 비해서 말이다. 왜 그렇게 비싼지는 이해를 못하겠지만. 일단 여러 소스를 통해서 검색해서 알아 본 결과 스타벅스 제품은 2009년에 시장에 출시되었다. 이 제품은 소위 '마이크로그라운드' 커피콩이나 뛰어난 원두를 사용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이 커피의 가장 큰 장점은 그 향인데 기존 인스턴트 커피에서는 맛볼 수 없는 것이라고 한다. 한 잔에 거의 1달러 정도 한다는데 아주 비싼 편에 속한다. 

스타벅스 홈페이지 스토어

 : 스타벅스 홈페이에서 보면 알겠지만 가격은 약 10달러이고 저런 봉지 포장에 파는데 속에는 작은 포장 팩이 12개 들어 있다. 굳이 계산하자면 개당 9달러 정도라고도 볼 수 있는데 어쨌든 기존의 제품과 비교해 보면 정말 비싼 편이다.  50들이는 35.95 달러.






 지마켓 검색결과

: 이것은 구매대행이다.  아래에 보는 것처럼 47,900원으로 확인하고 들어 왔지만 실제 가격은 52,900원. 일단 클릭하게 만들기 위해서 해 놓았다는... 그러지 말지.

다른 제품

: 24개 들이에 18,000원인데 위의 가격을 생각하면 조금 싸다. 그 이유는 이 제품은 이미 수입된 것으로 구매대행이 아니다. 아무래도 신선도 같은 데서 문제가 있지 않을까? 추측해본다. 어쨌든 개당 계산해 보면 1원이 안되는 것이니 굳이 이야기하자면 미국보다 싸게 파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만큼 뭔가가 있지않을까?라는 걱정이 드는 것은 어쩔 수 없다.


마운트 하겐 오가닉(Mount Hagen Organic)

Photo  by Titanas

유기농 제품이면서 공정 무역으로 만든 인스턴트 커피 중 최고란다. 그것보다는 비교적 유통이 잘되는 제품 중에 유기농 제품이면서 공정무역인 제품인게 이거란다. 이 제품은 파파뉴기니아 서부 고지대에 있는 도시의 이름이 마운트 하겐이다. 물론 이곳에 커피 원두가 만들어진다. 향이 스타벅스의 비아보다는 그렇게 좋지는 못하지만 유기농이라는 것과 공정무역으로 만들어 졌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비교적 맛과 향이 보장되는 이 제품도 좋은 선택이다. 




 아마존에서 가격은

 

  : 스타벅스 바이아 제품과는 비교도 안되게 싸다. 총 25개 들이에 6.26 달러이니 저런 포장 하나에 7천원 정도다.

: 병으로 되어 있는 것은 2병에 23.50달러이니 1병에는 약 12달러 즉 1만2천원 정도라고 할 수 있다.

한국에서 파는 가격은?

: 우연히 찾았는데 11,800원에 판단다. 거의 가격이 똑 같네? 어떻게 이럴 수가 있지? 물론 여기 배송비가 5,000원이긴 하지만. 그래서 지마켓을 검색해 보았다.

: 지마켓은 13,860원이다. 정식 수입 제품으로 2,500원 배송비를 생각하면 16,360원 정도. 지마켓 할인을 생각하면 최대 1만5천에서 1만 4천 정도에 구입가능하다. 그리고 배송비 5천 포함 16,800원인 것을 생각하면 실 가격은 차이가 없다고 봐야하지 않을까?

 그래서 이 제품을 구입해볼 생각이다.


다비도프 카페 파인 아로마(Davidoff Cafe Fine Aroma)

Photo by Meisam


이 제품 포장하나는 깔끔하고 끝내 준다. 그게 그럴것이 다비도프 홈페이지를 방문하면 시계 등을 포함해서 고급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다비도프는 브랜드다. 고급을 지향하는 브랜드. 이 제품도 다비도프 소믈리에가 엄선해서 만든 걸작이라고 소개하고 있다. 그러너 실제 마셔보면 다른 커피 제품과 그리 큰 차이는 느낄 수 없다.

 다비도프 홈페이지

 다비도프 커피 홈페이지

 : 다행히 한글로 된게 있으니 방문해보길 바란다. 

    아주 고급스럽게 만들어 놓았다.


 아마존의 가격을 보자.

 : 2병에 21.52달러. 즉 1병에 1만1천 정도에 살 수 있다. 그럼 한국에서 가격은?

 : 12,400원이다. 

다비도프 구입 및 시음기를 보려면 다음을 클릭

다비도프 인스턴트 커피 구입 및 시음기


메다글리아 도로 인스턴트 에스프레소(Medaglia D’Oro Instant Espresso)

이탈리아 빠들에게 가장 좋은 커피. 혹자는 초콜릿 맛이난다고도 한다.  이 제품은 에스프레소를 만들기 위해서 갈은 원두 분말의 모양을 모방했다. 100퍼센트 아라비카 원두로 만들어 졌다고 한다. 이 제품은 배낭여행객들에게 인기가 많은 제품이다.  위 그림을 클릭하면 홈페이지로 바로 갈 수 있다.

 아마존의 가격을 보자면, 

: 6병 들이에 27.46달러고 1병에는 4.5달러 정도라는 얘기다. 

 그러나 불행히도 한국으로 수입해서 파는 제품은 없다. 대부분 구매 대행. 아무래도 가격은 더 비쌀 것이다. 

: 위 가격을 종합해보면 그 가격은 대략 1병에 만원 정도다. 즉 약 2배 정도 비싸다고 보면 된다.


지랄도 농장 100% 콜롬비안(Giraldo Farms 100% Colombian)


100% 순 아라비카 원두를 사용. 로스팅을 가볍게 했고, 지랄도 농장은 25년의 커피 재배 및 로스팅의 경험을 가지고 있고 한다. 그러나 이 제품에 대한 특별한 정보는 없는 것 같은데 왜 선택되었는지는 모르겠다. 아마존 홈페이지에도 있는 리뷰는 달랑 1개. 

지랄도 농장 홈페이지


: 아마존에서는 4병에 34.97달러, 즉 1병에 9달러 정도라는 얘기다. 불행히도 이 제품에 대한 정보가 아주 많지는 않다. 심지어 한국에서 검색 건수는 없다. 즉 한국에서 이 제품 구하기는 하늘의 별따기일 것이다. 

 도대체가....



그 외 각 카테고리별로 잘 분류가 되어 있는 사이트는 다음을 참조.

커피 종류 및 분류가 깔끔한 웹사이트





728x90


탑 5 저온 브류 커피

 영어로는 Cold Brew라고 하고 한국에서는 일본에서 그 용어가 들어와 더치 커피(Dutch Coffe)라고 한다. 네덜란드가 식민지 시절 배를 타고 다니면서 오랫동안 커피를 즐기기 위해서 만든 방법이라 이런 이름이 붙었다.

 커피를 따뜻하게 마시는 사람도 있지만 냉동 브류를 좋아 하는 사람도 있다. 브류에 최소 12시간이 소요되고 찬물로 브류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신맛이 덜하지만 천연의 달콤한 향으로 유명하다. 저온 브류의 맛은 깔끔하다. 초코 맛이 나기도 한다. 밋밋하다는 의미는 아니다. 그저 맛이 다르다는 말이다. 2주라는 보관 기간과 생산 효율이 낮아서 비싸지만 그 향이 좋아 인기가 많다.

저온 브류 커피는 물에 희석시키거나 크림, 설탕 또는 좋아하는 첨가물을 넣어서 마시면 좋다. 아래는 바로 마실 수 있는 저온 브류 커피 중에 가장 좋은 유명한 5개를 추려 보았다.


1. 라 콜롬베 퓨어 블랙(La Colombe Pure Black)

 : 이 제품에 대한 정보는 특히 한국에는 거의 없다. 검색해 봐야 뉴욕의 La Colombe 카페에 대한 이야기 뿐. 커피 중에서 차가운 물로 브류하는 콜드 브류 종류 주에서 가장 좋은 평가를 받는 이 제품은 인터넷에서 검색해보면 아주 많이 나온다. 왜 유독 한국에는 없을까? 뭐 조금이라도 나와야 되는데, 물론 Cold Brew에 대한 정보는 많지만...

 네이버 검색결과

 줄서서먹는커피!! 'La colombe'






아래는 La Colombe Pure Black 생산에 대한 동영상

La Colombe 홈페이지

La Colombe 퓨어 블랙은 와인용 탱크에서 산소 없이 16시간을 물에 담궈 두번 압축하고 채로 걸러서 만들어진다. 퓨어 블랙이라는 이름에서 볼 수 있듯이 그 맛과 향은 순수 땅의 맛에 다른 커피 보다는 더 시고 어둡고 대담한 느낌을 가지고 있다. 강한 블랙 커피를 좋아하는 사람에게 딱이다.

 La Colombe는 위 홈페이지를 통해서 구입할 수 있다. 

 

: 2014년 2월 20일자로 확인해본 결과 '매진' 인기가 많긴 많나? 이 제품은 이 한 곳에서만 만드는 것 같다. 12개 팩에 30달러. 한국돈으로는 약 3만원.


2. 카멜레온 콜드 브류(Chameleon Cold Brew)

 : 이 제품에 대한 정보는 검색에 나오는데 다음 페이지로 가면 좀 더 상세한 정보를 볼 수 있다. 

케멜레온 콜드 브류

케멜레온 콜드 브류 리뷰

 텍사스 오스틴이 고향인 카멜레온 콜드 브류는 콜드 브류의 세계 입문용으로 유명하다.  특허가 있는 블렌딩 방식으로 16시간 동안 브류과정을 거친다. 풍부한 초콜릿 향과 맛있는 맛으로 유명하다.

 구매 정보

 : 위에서 보면 알겠지만 1명당 약 5 달러에서 10달러 정도다. Oz의 용량이 어느정도인지는 모르겠지만 위 사진상 큰병으로 10달러 작은병일 경우 5달러 정도.

Chameleon Cold Brew 홈페이지






3. 그래디의 콜드 브류(Grady’s Cold Brew)

 : 한국에서는 참 정보 구하기 힘들다. 다행히도 이 제품에 대한 리뷰가 있다. 물론 더치 커피라고 검색하면 결과가 많이도 나온다. 그러나 그 많은 많은 정보에도 불구하고 여기에 나온 좋은 콜드 브류 커피는 정말 검색결과로 많이 나오지 않는다. 놀라운 일. 어떻게 된 것일까? 어쨌든 이 제품에 대한 설명을 보자면....

 리뷰

 뉴올리언즈 스타일로 밤새도록 브류 과정을 거친다. 이 제품은 커피와 그래디의 비밀 성분인 치커리와의 특별한 조합으로 유명하다. 치커리(Endive라는 것도 있는데 여기서는 국화꽃이 아니라 Endive를 말하는 것 같다. Endive는 꽃상추라고도 한다)의 맛이 무엇인지는 알 수 없지만 특이한 조합인 것은 분명하다. 아마 먹어 보고도 모르고 먹었을 수도 있다.

 그래디즈 콜드 브류 홈페이지

홈페이지의 가격 정보


가격은 1병에 15달러 정도, 32 oz는 약 900그램 정도로 즉 1 l 정도인데 이정도면 많네. 


4. 스텀프타운(Stumptown)

 : 특이하게 이런 이름으로 된 카페가 있는 모양이다. 까페 리뷰는 여기를 클릭. 그러나 콜드 브류에 대한 글은 없다. 어쨌건, 120 그램 병은 들고 다니기 편하게 되어 있다. 웨스트 코스트에서 만들어져서 뉴욕시티에 상점을 세웠다. 이 상점의 리뷰는 여기 나와 있다. 초콜릿 맛도 있고 신맛이 강하다. 카페 가게에서만 구할 수 있다.

스텀프타운 동영상

홈페이지로 가기

구매 카탈로그

 : 가격은 3.5 ~ 5달러. 싸네. 



5. 버치 커피(Birch Coffee)

 : 이것도 역시 뉴욕에 카페가 있다. 그 카페 리뷰는 여기를 클릭. 


 이 커피는 그 맛도 좋지만 한국식 배달 서비스로도 유명하다. 회원가입을 통해서 원하는 시간에 배달이 가능하다. 마치 우유배달처럼.

 그리고 위에서 보면 알겠지만 내려먹는 커피도 판매한다.

 홈페이지를 방문하려면 여기를 클릭

: 64온스 그러니깐 약 5에서 6리터 정도에 25달러에서 20달러 정도다.


후기

 : 콜드 브류는 한국에서는 더치 커피로 알려져 있고 그것을 파는 가게도 많다. 하지만 미국이나 기타 유명한 브랜드의 제품을 구하기는 그저 해외직구밖에 없다. 그러나 한가지 의구심은 그 맛이 해외 직구할만큼의 가치가 있는지는 잘 모르겠다. 만약 그랬다면 이미 한국인들이 구매하려고 난리 났을 테니. 아마 한국에 판매하는 콜드 브류 제품도 맛이 좋을 것이다. 하지만 한가지 걸리는 점은 가격이다. 미국에서 판매되는 여러 제품들과 비교해보면 그 가격이 3배에서 5배 정도로 비싸다. 만약 배송비까지 생각한다면 대량으로 구매했을 시에 해외직구도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