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KTX 덤 상품을 이용해서 부산에서 서울로 롯데월드를 방문하다 1 부 - 왜 KTX 덤 상품을 구입했는가?


KTX를 타고 갈거라면 그리고 KTX 안에서의 시간이 너무 아깝다면 게다가 영화까지 좋아한다면 기차를 타는 시간이 싫다면 KTX 덤 상품을 과감히 추천한다.

 : 부산에서 서울로 가는 KTX의 가격은 55,300원. KTX 덤의 요금은 61,500원 가격차이는 6,200원이다. 6,200원의 투자로 KTX 시네마와 자유이용권 44,000원을 누릴 수 있다.

아래는 가격과 시간 등의 이점을 비교해본 엑셀 파일이다.

단순히 정말 싸게 가는 방법은 무궁화호에 구포 - 수원 구간을 이용하고 서울역까지는 지하철을 타고 가는 방법이다. 즉 25,450원에 서울까지 갈 수 있다. 이정도의 가격차이는 사실 큰 것인데 그 이유는 그냥 편도로 가기보다는 갔다 오는 게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왕복 50,900원은 KTX를 탔을 때 110,600원에 비하면 2배 가까이 되고 더욱이 중요한 것은 서민들에게 10원은 큰 돈이기 때문이다. 






그럼, 그림으로 이 상품을 구입하는 방법을 알아 보자

1. 상품 안내

2. 부산, 울산, 신경주 -> 수원, 서울 상품선택

3. KTX덤 특별활인 판매의 주의사항이 나온다. 원래 이런 깨알 글씨는 잘 봐야 한다. 기억하자. 

   자유이용권을 수령하고 난 이후에는 취소 불가다. 교환은 코레일 여행센터에서 가능하다.

4. 날짜를 선택하고 인원을 선택하자.

5. 날짜와 인원을 선택하고 나면 출발 가능한 상품명과 시간이 나온다. 이 중에서 하나를 선택한다.


6. 선택 후에 다음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뜬다. 그리고 약관에 동의해준다.

7. 예약자 정보를 입력한다.

8. 예약하기를 클릭한다.

9. 예약완료가 되었고 그 다음 '결제하기'

10. 카드 및 결제 정보를 입력한다. 아래는 카드 결제 시에 나오는 화면.

11. 결제가 완료되면, 아래와 같이 승차권이 나온다. 



위 과정을 거치면 완료된 것이다. 

나중에 알게 된 것이지만, 역에 가서 예약된 표를 교환하지 못한다. 이 과정에서 표를 인쇄하거나 폰에 담아가야 한다. 


KTX 덤 상품을 이용해서 부산에서 서울로 롯데월드를 방문하다 2 부 - 표 교환하기 그리고 기차 안에서로 가기

KTX 덤 상품을 이용해서 부산에서 서울로 롯데월드를 방문하다 4 부 - 롯데월드로 가기


728x90

  1. 2015.12.22 국민건강보험 건강진단 제대로 받고 있는 건가? - 부산 속편한 내과
  2. 2015.11.03 부산 서동 세웅 병원 건강검진 후기


건강보험임의계속가입 신청에 대해서 알게 되다.

 : 건강보험료 결코 평등하지 않은 배분과 문제가 많은 보험료. 직장 다닐 때보다 지역가입으로 되면 보험료를 난 더 많이 내게 된다. 이런 불합리를 개선하기 위해서 나온 제도 같다. 그러나 그 기간도 2년간만이다. 2년 후에는 본래대로 돌아간다. 쩝. 



 위에 글을 보면 알겠지만 다리가 부러져서 못온다거나 하는 특별한 사정이 있지 않는한 공단으로 직접 방문해야 한다. 그런데 내가 가야할 금정지사가 안내는 실제와 다르니 헷갈리지 않도록 하자. 그리고 구글 지도에는 검색해도 제대로 안나온다.  



위치는 두실 지하철역 1번출구 바로 옆 건물이다. 출구로 나온 후에 한참을 걸었다가 다시 돌아가기를 반복하다가 발견했다. 공단 간판도 작게 구석 비슷한 곳에 있어서 눈에 띄지 않는다. 




15층과 16층에 있는데 그 중 16층이다. 미리 알아 보고 가기를 바란다. 안내문 찾는 것도 쉽지 않다. 

드디어 문앞에 드러섰다. 그 이후 절차는 간단하다. 

신청하러 갈 때 한가지 팁은 월요일 같은 날을 선택해서 5시 30분 쯤에 도착하는 것이다. 30분쯤에 도착하니 사람이 별로 없었다. 운이 좋아서 였는지는 모르겠지만 가서 빠른 시간에 해결되었다. 

그 절차는

1. "임의 계속가입신청"이라고 말한다.

2. 신분증 제시

3. 안내에 따라서 수납창구에서 당월 보험료 납부

4. 다시 신청한 창구로 와서 영수증 제시

5. 신청서에 서명하면 완료된다.


아래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영수증은 본인이 가져가는 거고 새로운 보험증을 발급해 준다.


  1. 2015.12.22 국민건강보험 건강진단 제대로 받고 있는 건가? - 부산 속편한 내과
  2. 2015.11.03 부산 서동 세웅 병원 건강검진 후기


728x90


머릿말

 : 중앙아시아와의 인연으로 중앙아시아 한 국가의 지폐를 얻게 되었다. 그냥 놔 두느니 그 지폐를 공개하기로 했다. 

 중앙아시아 쪽은 특이하게 동전보다는 지폐를 주로 사용한다. 그래서 실제 가치로 봐선 한국의 10원 ~ 100원 정도의 가치 밖에 안된다. 

 굳이 이야기 하자면 한국에서 1원과 3원짜리 지폐가 있다고 봐도 된다는 것이다.  

 

 우즈벡 1숨

키르키즈 1숨




우즈벡 3숨

러시아 1루블


728x90



돌체 구스토 캡슐 커피 - 실수에서 이어진 새로운 시도


 : 마트 한 번 갔다 오면 이것 저것 새로운 것을 사오는 어머니. 내가 커피를 좋아하니 이번에는 사와도 먹을 수 없는 돌체 구스토를 사왔더라... 에고... 


 돌체 구스토 전용 커피 머신이 있어야 하는데...... 뭐 어쨌든 이번 기회에 이놈을 한번 살펴 보았다...




1

 돌체 구스토 캡슐...



 캡슐의 장점은 밖에서 사는 것 만큼의 편리함이다. 물론 이미 맞춰진 입맛과 정형화된 것이 단점이긴 하지만 이것저것 신경쓸 것없이 그냥 넣고 누르고 기다리다가 커피를 마시면 되기 때문에... 이런 커피를 선호하는 사람들이 많다.


 돌체 구스토 캡슐은 다른 캡슐과는 좀 차이가 난다. 뭔가 도툼하고... 


 



 

 내가 의도한 것은 그 안에 있는 커피 가루를 종이 필터에 담아서 파드 식스 커피 머신에 내려 먹는 것이었다. 저 덮개를 벗기면 바로 가루가 있을 줄 알았는데... 아니 생각보다는 제법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더라는... 저 복잡한 구조이니 기기는 더 단순한 수 있겠지라는 생각이 들었다.



 일단, 가루를 꺼내야 하니 저 비닐 덮개를 까보았다.

 



 까보니 저 안의 또 다른 비닐이라니, 저 안에는 정량으로 정해져 있는 한잔분이 들어 있었다... 저걸 미리 준비해둔 종이 필터에 담았다.


 



 


 위에서 보시다 시피 필터 종이에 커피를 담고... 커피 깔대에 딱 맞도록 접어주었다. 꼼꼼하게 접고난 다음 파드 머신에 넣고 커피를 뽑을 준비했다.



 위에서 보듯이 커피를 종이에 넣고 하면 되는데 저 종이 필터에 넣어서 저 파드 받침대에 꼭 맞게 접는게 꽤 어렵다. 저거 전용으로 필터가 있었다면 정말 좋을텐데 말이다.

  


2

 커피를 내려보고 파드 안의 구조를



 : 봤다. 파드 안은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복잡하게 되어 있더라. 헐!!! 이거 이렇게 복잡할 필요가 있나? 파드 식스의 파드만 봐도 커피에 그냥 필터만 둘러 싼 거다. 게다가 공통 파드 제품을 봐도 그런 형식이다. 그런데 이놈은... 어쨌든, 일단, 커피부터 보자...


 




 : 위 사진에서 보면 알겠지만, 전용 파드로 뽑는 것과 큰 차이가 없다. 물론 맛도 마찬가지... 







 뽑고 난 후의 모습을 봐도 그렇다. 뽑고 난 커피에는 정상적인 정도의 크리마도 형성되어 있고... 결론은 나쁘지 않다는 거다....

















 


 아래는 이 파드의 구조인데... 제법 복잡하더라... 아래에서 보면 알겠지만 커피를 꺼내고 나면 은박지가 있고 그 은박지를 벗기고 나면 특이하게 생긴 플라스틱 필터가 있더라...


 





그 역할은 압력을 받으면 은박지에 작은 구멍을 내어서 필터의 역할을 하도록 만든 것 같았다. 그런데 은박지에, 플라스틱이 높은 온도의 물에 노출되면 소위 환경 호르몬 같은 나쁜 물질도 같이 나올 것 같았다. 뭔가 좀 불안한 점이라고나 할까... 아직 돌체 구스토를 접해 보지는 않았지만 말이다. 기계를 싸게 하나 장말해서 마셔볼 생각이긴 하다....


 어쨌든 생각보다 복잡한 구조에 좀 놀라기는 했다. 그래서 기기는 더 단순할 거라 생각했고... 결과를 뽑아서 본 커피는 나쁘지 않았다. 그리고 저 커피 파드가 대량 생산되기는 하겠지만 가격이 꽤 비싼 이유를 알 수 있었다. 기계값이 좀 싼 이유도 알것 같았고...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