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한국 최고의 게임 쇼 2013년 지스타 관람기 2부

                                       - 게임과 하드웨어 2


지스타 모델

보면 볼 수록 이쁘네


1. 시연해본 게임들 

    1.1 한국의 중소 기업, 퍼니팩토리

          : 이 회사는 특이한 어플을 선보였다. 2차원으로 그린 그림에 색을 입히면 그것을 3차원으로 보여주는 재밌는 어플이었다. 특히 이곳에는 여자들이 많이 와서 해보고 재미있어 했다.



    1.2 기타 한국의 중소 기업 작품들

 중소기업의 작품들







1.3 학생들의 작품들

흥미 있었던 학원 또는 학교 학생들의 작품들

이 게임은 직접 해 보았는데 귀여운 캐릭 디자인이 인상적이었다. 게임 구현 등에서는 부족한게 보였지만... 학생들이 만들었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수준작이라 생각한다.


1.4 누리 스타덕스의 작품인 와일드 버스터




2. 하드웨어들 

  2.1 엔비디아

엔비디아의 테그라 태블릿

엔비디아의 그래픽 카드를 연결한 PC 본체


728x90

한국 최고의 게임 쇼 2013년 지스타 관람기 2부

                                       - 게임과 하드웨어 1


들어가기 전


 : 한국의 게임이 모였다. 그리고 서로 자리를 뽑냈다. 이번 지스타는 이전 지스타와는 조금은 다른 느낌이다. 

 첫째, PC기반과 터치스크린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폰용 게임이 50:50의 비율을 차지하는 것 같다. 

 둘째, 중소 게임기업들이 이제는 흩어져 있지 않고 하나로 뭉쳐서 부스를 마련해서 경쟁력을 마련했다. 

 셋째, 이전에는 지나가기만 하면 나눠 주던 것들이 많이 없어지고 뭔가를 해야만 조그마한 홍보물품을 나눠 주었다. 

 넷째, 이전과는 달리 관람자의 수가 줄은 것 같다. 그러나 B2B 등 기업과 바이어들을 위한 전시회는 비교적 활성인 것 같다. 이전보다 '외국인'들이 많이 보였다.

 다섯째, 그러나 역시 사람들 모이는 것은 '부익부빈익빈'이었다. 워게이밍, 넥슨, 다음, 블리자드 등으로 사람들이 대거 모였고 다른 곳은 한산했다. 


프린세스 메이커의 모델


1. 시연해본 게임들 

    1.1 닌텐도 DS의 몬스터 헌터

     : 이 게임은 기본적으로 닌텐도 DS를 기반으로 한 게임이다. 그 조그만 기기. 스마트폰에 견줄만한 크기에 게임 전용이라고나할까? 이 게임의 핵심 포인트는 다음이 아닐까?

      - 게임전용 태블릿 또는 스맛폰

      - 플레이 방식에 익숙해지는 것이 쉽진 않지만 은근히 중독성 같은 것이 있어서 플레이하는 동안 정신없이 했다. 

      - 한 가지 치명적인 단점이라면 "그래픽" 해상도. 요즘에는 참 보기 힘든 구형 해상도를 보인다. 하지만 움직이라든지 3D구현력은 뛰어난 편이다. 

닌텐도 DS와 몬스터 헌터 게임

닌텐도 게임에 빠져 있는 방문객들







    1.2 블리자드의 부스

        : 블리자드, 그 명성에 갈맞게 한번 해보기 위해서 줄 선 이들이 많았다. 몇몇 자리를 제외하고는 항상 자리에는 사람이 있었다. 역시 그 놈의 인기는...




2. 하드웨어들 

  2.1 소니 부스 : 미래로 다가선 모습을 보았다고나 할까? 소니가 3디 안경을 시연하는 모습인데. 이전에도 이런 기기는 있었고 제법 나름대로 뭔가를 구현했던 것이었다면 이번것은 마치 큰 화면으로 영화를 보거나 게임을 하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스포츠 자동차 시연

보면 알겠지만 기어변경이 실제같다.


2.2 제닉스 부스 : 게임 전용 키보드와 마우스. 게이머들을 위한 키보드 그리고 마우스.


728x90


던파 이벤트 리뷰와 당첨





 : 네오플의 이벤트 기획자는 정말 천재가 아닐까? 몇명이 이 일에 매달리고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이벤트 기획력은 대단한 것 같다. 인정안할 수가 없다. 일단 양적으로는 타의 추종을 불허할만큼 압도적이고 질도 나쁘지 않으니 말이다.



1

 프리스트 소녀의 고백


 이건 웹에서 참여하는 형태다. 적정 던전을 3회 클리어하면 1회의 기회가 생기고 최대5개까지 가능하다. 아래 슷샤에서 '잠에서 깨어나 소녀의 고백 받기'를 클릭하면 총 4개의 선택옵션이 나오고 그중 하나를 선택하면 준비된 선물 중 하나가 나오는 뽑기 방식이다.

 




  담청 선물로 가장 좋은 건 바로 현물인 프리스트 등신대이다. 아마 홍보용으로 만들었을텐데... 총 2000개가 있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리고 시간이 지난 지금 이미 동이났고... 아마 예상보다 빨리 수많은 게이머들이 이벤트에 응모해서 발생한 일이리라.






2

 여프리등신대에 담청되다...



: 등신대라고 하니 어감이 좋지 않네... 뜻은 이해하겠지만... 느낌이 영!!! 피규어라는 말도 있는데... 굳이... 한글을? 그래 영어를 안쓴게 어디고!!! 이점 칭찬할만하다. 던파는 아이템 이름에서부터 그런 점이 마음에 들었었다. 초기에 말야... 가장쎈이라든지... 맛있는 어쩌고저쩌고 하면서 한글을 많이 썼었다. 각설하고... 안될 것 같았던 등신대 당첨... 길드에 이걸 알리니... 담첨되는구나하고 놀라더라... 





  헐!! 고맙다 네오플... 나에게 이런 행운을 주다니. 그래도 현물이어서 기분은 좋더라!!! 흥해라 네오플...

 




728x90


오래간만에 한 블소, 그 오토의 현실을 보다

   - The annoying reality of Blade and Soul, The automatic control


 : 블레이드 소울 이대로 좋은가? 오토를 막을 생각은 있는 건가? 이전 리니지 2에서는 조금이라도 그런 흔적이 보였다고 하면 바로 감옥행이었다. 지금 블소는 그 현실이 너무도 심각하다.

The best MMORPG in Korea is now in a troublesome situation. It's too many auto-players in the game. The NCsoft really has any intention to stop them. It's really difference reaction to those players from that of Lineage 2.






이대로는 안 된다. 유료 게임인 만큼 오토 캐릭의 계정 수로 봤을 때 그 계정 금액은 장난이 아닐 것이다. 하지만 현재 유저수의 감소로 봤을 때 득보다는 실이 더 많은 게 아닐까? 복귀유저 이벤트도 그런 현실을 반영하는게 아닌가 한다.이제 특단의 조치를 취해야할 때다. 리니지 1의 그 풍부한 경험이 있지 않은가?

This is not good at all. What I can see is that at least NCsoft makes a good money from the Auto-users. Eventhough, there must be much loss than gain considering the ranks of Online games in Korea. The event for the returners also reflects the reality. They need to take a special measure for that. They can do because they have abundant experience from the Lineage series.


아래는 오토 세상이 된 블소의 현실





+ Recent posts